최철수 연구실
의과대학 최철수
최철수 연구실은 내분비대사내과를 기반으로 당뇨병, 비만,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등 다양한 대사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유전자 변형 마우스, 오믹스 분석, 세포 및 조직 수준의 실험 등 첨단 생명과학 기법을 활용하여 대사질환의 분자적 기전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Activin E, BMP9, BMP10 등 새로운 간 유래 호르몬(hepatokine)의 대사 조절 기능과 이들의 신호전달 경로를 밝히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근육 및 지방조직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에너지 대사, 지방산 산화 및 저장 조절 등 대사질환의 핵심 병태생리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 지방간, 근감소증 등 다양한 대사질환의 원인과 진행 메커니즘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대사질환 혁신 신약 타깃 발굴 및 신약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유전자 변형 마우스 대사표현형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여, 질환 관련 유전자 및 신호전달 경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을 검증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저분자 화합물, 펩타이드,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치료제 후보물질의 대사질환 개선 효과를 동물모델 및 세포모델에서 평가하고 있으며, 자체 발굴한 신약 타깃 및 후보물질에 대한 특허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3차원 세포배양, 마이크로니들 센서, 바이오이미징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신약 효능 평가 및 대사질환 진단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협력, 국가 연구과제 수행,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 임상 및 산업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 연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최철수 연구실은 앞으로도 대사질환의 근본적 치료와 예방을 위한 혁신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Diabetes
Nanobiosensor
Metabolic Diseases
내분비대사질환의 분자생물학적 기전 연구
최철수 연구실은 내분비대사내과를 기반으로 당뇨병, 비만,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등 다양한 대사질환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슐린 저항성의 발생 원인과 신호전달 경로, 지방조직과 근육, 간 등 주요 대사기관에서의 대사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유전자 변형 마우스 모델, 세포주 실험, 오믹스 분석 등 첨단 생명과학 기법을 활용하여 대사질환의 병태생리를 다각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내분비호르몬 및 신호전달 인자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들이 대사질환의 발병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Activin E, BMP9, BMP10 등 새로운 간 유래 호르몬(hepatokine)의 대사 조절 기능과 이들이 지방간, 비만,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근육 및 지방조직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에너지 대사, 지방산 산화 및 저장 조절 등도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내분비대사질환의 새로운 치료 타깃을 발굴하고,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과 대사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대사질환 혁신 신약 및 치료 타깃 발굴
본 연구실은 대사질환의 치료를 위한 혁신 신약 타깃 발굴과 신약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변형 마우스 및 다양한 대사표현형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여, 비만, 당뇨, 지방간, 근감소증 등 다양한 대사질환에서 유전자 및 단백질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환의 원인 유전자와 신호전달 경로를 규명하고,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을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연구실은 저분자 화합물, 펩타이드,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치료제 후보물질의 대사질환 개선 효과를 동물모델 및 세포모델에서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BMP9, BMP10, LRS-UNE-L, ROCK2 억제제 등 자체 발굴한 신약 타깃 및 후보물질에 대한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 산업화 및 임상 적용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최근에는 3차원 세포배양, 마이크로니들 센서, 바이오이미징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신약 효능 평가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협력, 국가 연구과제 수행,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대사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Activin E is a new guardian protecting against hepatic steatosis via inhibiting lipolysis in white adipose tissue
Lee, Se-Jin, Choi, Cheol Soo, Lee, Hui-Young, Jung, Sungwon, Kim, Il-Young, Park, Sanghee, Park, Shi-Young, Cho, Yoonil, Son, Sae-Mi, Hur, Jang Ho, Kim, Yeongmin, Oh, Hyunhee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202502
2
Free essential amino acid feeding improves endurance during resistance training via DRP1-dependent mitochondrial remodelling
Song, Taejeong, Sadayappan, Sakthivel, Kwak, Hyo-Bum, Wolfe, Robert R., Choi, Cheol Soo, Kim, Il-Young, Park, Sanghee, Jang, Jiwoong, Kim, Yeongmin, Kim, Hee-Joo, Koh, Jin-ho, Cho, Yoonil, Park, Shi-Young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202410
3
TAT38 and TAT38 mimics potently inhibit adipogenesis by repressing C/ EBPα, PPARγ, Pi-PPARγ, and SREBP1 expression
Park, Sun-young, Shin, Dongyoon, Yoon, Young So, Park, Sujin, Im, Seung-Soon, Kim, Yeongshin, Kim, Young-Soo, Hur, Man-Wook, Choi, Cheolsoo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GENE REGULATORY MECHANISMS, 202406
1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지방분해 촉진 및 에너지 대사 증가 기전의 비만 및 대사성질환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2
비만 당뇨 혁신 신약타깃 발굴을 위한 유전자 변형 마우스 형질분석 플랫폼 구축 및 활용
3
유전자변형마우스 2차 대사표현형(근육) 분석 기반구축 및 대사표현형 분석을 통한 생체 유전자 기능 규명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