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원 연구실
제약공학과 이상원
이상원 연구실은 미생물공학과 제약공학의 융합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생물 및 버섯, 발효식품의 기능성 증진과 산업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미생물의 분리, 동정, 유전체 분석, 대사 경로 규명 등 기초 연구부터 시작하여, 이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식품첨가물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응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로바이오틱스와 차세대 미생물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유익균의 발굴 및 기능성 평가를 통해 비만, 대사증후군, 면역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파라바이오틱스와 포스트바이오틱스 등 새로운 개념의 미생물 소재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버섯 및 발효식품 분야에서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배지 개발,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생리활성 증진 등 실용적 연구가 두드러집니다.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큰느타리버섯 등 다양한 버섯의 배양 및 기능성 평가, 발효 두부, 청국장, 된장 등 전통 발효식품의 생리활성 성분 분석과 현대화 연구를 통해 농가 소득 증대와 지역 특산품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항균성 물질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및 활용, 버섯 병해 방제용 천연 항균제 개발, 발효식품의 저장성 및 안전성 향상 등 다양한 응용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식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국민 건강 증진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상원 연구실은 미생물공학, 발효공학, 식품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 연구를 통해, 기능성 미생물 및 발효식품의 산업화와 고부가가치화에 앞장설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건강한 사회 구현과 지속가능한 농식품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기능성 미생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이상원 연구실은 다양한 미생물의 분리, 동정 및 기능성 평가를 통해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및 기능성 미생물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K9과 같은 유산균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대사 경로와 에너지 생성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바이오틱스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해당 연구는 lactic acid 생성량이 높은 균주의 발굴과 산소 내성 등 배양 특성의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Next-generation probiotics), 파라바이오틱스(Parabiotics), 포스트바이오틱스(Postbiotics) 등 새로운 개념의 미생물 소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이 비만, 대사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과 연관되어 있음을 밝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미생물 기반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Amuc_1100 단백질, 세포외 소포(EVs) 등 미생물 유래 대사산물의 기능성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생물의 대사산물, 생리활성 물질, 항염증 효과, 면역 조절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식품첨가물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미생물 기반의 기능성 소재 개발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버섯 및 발효식품의 기능성 증진과 산업화
이상원 연구실은 버섯 및 전통 발효식품의 기능성 증진과 산업화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폐 한방슬러지, 한약재, 곡물배지 등 다양한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버섯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이를 통해 농가 소득 증대와 친환경 농업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큰느타리버섯 등 다양한 버섯의 배지 개발 및 생리활성 평가를 통해 고품질 버섯 생산 기술을 확립하였습니다.
또한, 버섯 추출물 및 발효식품의 항산화, 항암, 면역 활성 등 생리활성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능성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산업적 응용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발효 두부, 청국장, 된장 등 전통 발효식품의 제조 과정에서 미생물의 역할과 대사산물의 변화, 생리활성 성분의 증진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전통 식품의 현대화와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균성 물질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및 배양, 버섯 병해 방제용 천연 항균제 개발, 발효식품의 저장성 및 안전성 향상 등 실용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역 특산품 개발, 농식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 국민 건강 증진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1
Antifungal Effects of Fermented Sophora flavescens and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Extract
이상원, Kim Ju Yeon, Chae Min Joo, Son Yun Gon, Jo Su Min, Kang Na Rae, Kang Seong Doo, Kim Kwang Dong, Kim Jeong Yoon
APPLIED SCIENCES-BASEL, 202405
2
Eucalyptus globulus leaf-isolated isorhapontin serves as a natural insecticide via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이상원, Park Jae Yeon, Kang Seong Doo, Son Yun Gon, Kim Ju Yeon, Lee Gihwan, Kim Kwang Dong, Kim Jeong Yoon
PESTICID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202403
3
Historical and Current Perspective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Cultivation in South Korea
이상원, 조영손
Asian Journal of Advances in Agricultural Research, 202111
1
3차년도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2
2차년도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3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