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한솔 연구실
의과대학 정한솔
정한솔 연구실은 응급의학 분야에서 다양한 임상적 문제 해결을 목표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심정지 환자 관리, 감염병 상황에서의 응급의료 대응, 중증 환자 진단 및 치료 등 응급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팬데믹과 같은 특수 상황에서의 응급실 운영과 환자 관리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감염 확산 방지와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한 새로운 전략과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외부 심정지 환자에 대한 다중 모달 종료 규칙의 검증, 감염병 상황에서의 사후 관리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영상의학과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여 응급실 내 중증 환자 진단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흉부 X선 영상에서의 딥러닝 알고리즘 적용, 복부 초음파를 활용한 신속 진단 등 첨단 기술을 임상에 접목하여 환자 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임상 사례 분석을 통해 약물 오남용, 독성물질 노출, 뇌경색 등 응급실에서 자주 접하는 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발표되어 응급의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정한솔 연구실은 앞으로도 응급의학 분야에서 환자 안전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임상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문제 해결과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응급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응급의학에서의 심정지 환자 관리 및 심폐소생술 전략
정한솔 연구실은 응급의학 분야에서 심정지 환자 관리와 심폐소생술(CPR) 전략의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COVID-19 팬데믹과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 응급실 내 심정지 환자에 대한 관리와 개인 보호장비(PPE) 준비, 새로운 CPR 전략의 도입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응급실 환경에서 의료진과 환자의 안전을 동시에 확보하면서도, 신속하고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외부 심정지 환자에 대한 다중 모달 종료 규칙(multi-modal termination of resuscitation rules)의 외부 검증, 감염병 상황에서의 심정지 환자 사후 관리, 그리고 심정지 환자에서 COVID-19 감염 여부 확인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이를 통해 응급의료 체계 내에서의 효율적인 환자 분류와 자원 배분, 감염 확산 방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지침과 전략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한솔 연구실은 심정지 환자 관리의 표준화와 최적화, 그리고 감염병 등 특수 상황에서의 응급의료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응급실 내 중증 환자 진단 및 치료의 혁신: 영상의학과 인공지능의 융합
정한솔 연구실은 응급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중증 환자에 대한 신속한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흉부 X선 영상에서 COVID-19 폐렴을 검출하기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 적용, 복부 초음파를 활용한 응급 상황(예: postcoital hemoperitoneum) 진단 등 첨단 영상의학 기술과 인공지능(AI)의 융합을 통해 진단의 정확성과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응급실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질환(심혈관계, 신경계, 중독 등)에 대한 신속한 판단과 적절한 치료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연구실은 시각적 장애를 유발하는 뇌경색, 약물 오남용에 의한 급성 질환, 독성물질 노출에 의한 손상 등 다양한 임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단 및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인공지능 기반 영상 판독 기술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의료진의 진단 부담을 줄이면서도 환자 안전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한솔 연구실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응급의학 진단 및 치료의 혁신을 선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1
Self-adhesive pads in defibrillation or cardioversion: risks due to unfamiliarity and recommendations
정한솔
World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2401
2
Subtle visual impairment caused by temporoparietal infarction: a case report
정한솔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202306
3
Operational Status of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Departments and Patient Concentration in Higher-Level Emergency Departmen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Neighboring Provinces, South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김헌주, 정한솔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