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약학연구실
약학과 오정미
임상약학연구실은 서울대학교 약학과를 기반으로 하여, 임상약학, 약물유전체학, 약물계량학,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융합적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대표적인 임상약학 연구기관입니다. 본 연구실은 장기이식 및 항암화학요법 환자에서의 임상 및 translational 연구를 중심으로, 환자 맞춤형 약물치료 전략 개발과 치료 성과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장이식, 간이식, 조혈모세포이식 등 다양한 이식 환자와 암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억제제, 항암제의 약동학적·약력학적 특성, 유전적 다형성, 임상적 변수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실제 임상에 적용 가능한 맞춤형 치료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약물유전체 및 약물계량학(Pharmacometrics) 분야에서 국내외 선도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환자의 유전적 특성과 임상적 요인을 반영한 약물 반응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대규모 임상 데이터와 유전체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정량적으로 예측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약물 용량 및 치료법을 제시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임상약학연구실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반의 첨단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약물 부작용 신호 탐지, 신약 재창출(Drug Repositioning), 약물상호작용 평가 등 다양한 임상 현안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건강보험 빅데이터, 전자의무기록(EMR), 환자 보고 결과(PRO)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여, 근거 기반의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과 정책 제안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임상약학연구실은 국내외 유수의 연구기관, 병원, 정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다학제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정부·산학 프로젝트, 임상시험, 정책 연구 등을 통해, 환자 중심의 약물치료 혁신과 보건의료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약학, 의학, 데이터사이언스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모여,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임상약학연구실은 임상약학, 약물유전체, 약물계량학, 빅데이터 등 첨단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환자 안전과 치료 성과 향상을 위한 혁신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외 임상약학 분야의 발전과 정밀의료 실현에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Pharmacogenomics
Pharmacoepigenetics
Clinical Research
장기이식 및 항암화학요법의 임상 및 Translational 연구
장기이식 및 항암화학요법의 임상 및 translational 연구는 임상약학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 중 하나로, 장기이식 환자와 암 환자에서의 약물치료 최적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장기이식 환자에서 면역억제제의 약동학적·약력학적 특성, 유전체 및 임상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면역억제제 용량 조절 및 부작용 최소화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에서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예측하고,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임상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대규모 임상 데이터와 유전체 정보를 활용하여, 장기이식 및 항암치료 환자에서의 약물 반응의 이질성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약물유전체학, 약물계량학(Pharmacometrics), 빅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등 다양한 첨단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신장이식, 간이식, 조혈모세포이식 등 다양한 이식 환자군을 대상으로 면역억제제(타크로리무스, 사이클로스포린 등) 및 항암제의 약동학적 모델을 구축하고, 유전적 다형성과 임상적 변수의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임상 적용 가능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이식 장기 및 암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임상시험, 실제 진료 데이터, 환자 보고 결과(PRO)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치료 결과의 객관적 평가와 근거 기반의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임상약학연구실은 장기이식 및 항암화학요법 환자에서의 맞춤형 약물치료와 치료 성과 개선을 위한 혁신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약물유전체 및 약물계량학(Pharmacometrics)을 통한 개인 맞춤형 약물치료 연구
약물유전체 및 약물계량학 연구는 임상약학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로, 환자의 유전적 특성과 임상적 요인을 반영한 맞춤형 약물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약물수송체, 대사효소(특히 phase II 대사효소), 그리고 다양한 유전적 다형성(polymorphism)이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환자별 최적의 약물 용량 및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연구실은 대규모 유전체 데이터와 임상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약물 반응의 개별 차이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최신 약물계량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약물의 약동학적·약력학적 변동성을 정량화하고, 유전적·임상적 변수와의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CYP3A5, CYP3A7, ABCB1 등 주요 약물대사 및 수송 유전자 다형성이 면역억제제, 항암제, 기타 치료제의 혈중 농도 및 치료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 적용 가능한 예측 모델과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약물치료(Precision Medicine)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분석을 통해 약물 부작용 예측, 신약 재창출(Drug Repositioning), 약물상호작용 평가 등 다양한 임상 현안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임상약학연구실은 약물유전체와 약물계량학의 융합을 통해, 환자 안전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정밀의료 혁신을 선도할 것입니다.
1
Development of Agenda for Pharmaceutical Care Service Research and Development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Han N, Jeong CR, Song YK, Yoon JH, Jang S, Lee EK, Shin HT, Lee YS, Sohn HS, Ji E, Suh DC, Kim D, Oh JM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1970
2
Perspectives on Adopting the Guideline for Multi-regional Clinical Trials in Korea: A Multi-stakeholder Survey
Minji Sohn, Yun-Kyoung Song, Ah Young Jeon, Jung Mi Oh, In-Wha Kim
Korean J Clin Pharm, 2019
3
Formulation of the Scope and Key Questions of the Guideline Recommendations for Immunosuppressive Treatment in Kidney Transplantation
Huh S, Han N, Sohn M, Ryu J, Yang J, Oh JM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2019
1
환자중심 약물알레르기 진료정보 공유체계 구축 시범사업
2
ADPKD 환자에서 치료약물사용 결정을 위한 니즈 기반의 다학제적 디지털 최적 환자-의사 공유의사결정 모형 개발 및 실증
3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형·비정형 데이터 기반 당뇨 대사성 복합합병증 초개인화 딥예측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