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Sensing Space Lab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김미정 교수

User Experience

Smart Community

Digital Fabrication

Sensing Space Lab

건축학부 김미정

Sensing Space Lab은 건축 공간과 인간, 그리고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스마트 환경을 창출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센싱 아키텍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경험과 감성, 행동을 중심으로 한 공간 설계와 환경 혁신을 추구합니다. 특히, 스마트 홈, 스마트 오피스, 스마트 커뮤니티,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공간 유형에서 사용자의 경험(UX)과 웰니스(wellness)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현실과 가상 공간의 연속성을 활용한 디자인 교육환경 모델 개발, 메타버스 기반의 교육 콘텐츠,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협업 기반의 디자인 교육 등 미래형 교육 혁신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 전략과 실험적 커리큘럼을 개발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학습환경, 자기주도적 학습, 사회적 가치 실현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스마트 시티 및 커뮤니티 디자인 분야에서는 인구구조 변화, 사회적 요구, 환경문제 등 도시의 다양한 이슈에 대응하는 혁신적 모델을 제안합니다. 빅데이터 분석, 인구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도시 맥락 분석 등 첨단 방법론을 활용하여, 시민의 경험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환경적 가치가 조화를 이루는 도시 공간을 설계합니다. 탄소중립 도시, 친환경 커뮤니티, 워케이션 활성화, 빈집 활용 등 도시재생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전략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건강 스마트 홈, 고령자 및 1-2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주거 모델, 여성 웰니스 지원 스마트 리빙, 사용자 경험 기반의 공간 설계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연계된 연구를 폭넓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현장 적용과 정책 제안, 산업 협력 등으로 이어지며, 사회적 파급력과 실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Sensing Space Lab은 인간 중심의 스마트 환경, 창의적 디자인 교육, 지속가능한 도시 및 커뮤니티 모델을 통해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미래 공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첨단 기술과 인간의 경험, 사회적 가치를 융합하는 혁신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것입니다.

User Experience
Smart Community
Digital Fabrication
스마트 환경과 인간-공간 상호작용
스마트 환경은 첨단 정보통신기술과 센서,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공간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실은 건축 공간 내에서 인간과 공간, 그리고 기술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센싱 아키텍처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그리고 인간-빌딩 상호작용(HBI) 등 다양한 관점에서 스마트 환경의 구현 방안을 모색합니다. 스마트 홈, 스마트 오피스, 스마트 커뮤니티,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공간 유형에서 사용자의 경험(UX)과 감성,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공간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설계, 공간 내 감정 및 경험 측정 등 다학제적 접근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몰입형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와 가상 공간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형태의 공간 경험을 창출하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화 사회, 1인 가구 증가, 팬데믹 등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는 스마트 주거 및 커뮤니티 모델 개발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지적, 영적 웰니스(wellness)를 지원하는 스마트 환경을 구현하여,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공간을 제안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디자인 교육 혁신과 현실-가상 연속성 기반 학습환경
디자인 교육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에 따라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합적 사고,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의 연속성을 활용한 디자인 교육환경 모델을 개발하고, 메타버스, VR/AR,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교육에 접목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실제 공간과 가상 공간을 넘나들며 창의적 사고를 확장하고,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유연한 하이브리드 교육환경, 학습자와 교수자 중심의 디지털 교육환경, 문제기반학습(PBL) 및 산업연계형(IC-PBL) 교육모델 등 다양한 교육 전략을 실험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자인 사고력 증진을 위한 텍스트 자극, 협업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활용, 웹 기반 협업 툴(Miro 등) 적용 등 창의적 교육 방법론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팬데믹 이후 급변하는 교육 환경에서 학생들의 학습 경험과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 콘텐츠 개발, 공간적 몰입감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가상 스튜디오 구축, 그리고 미래형 디자인 교육 커리큘럼 제안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부합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시티와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디자인
스마트 시티는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실은 인구구조 변화, 사회적 요구, 환경문제 등 다양한 도시 이슈에 대응하는 혁신적 스마트 시티 모델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 맥락에서의 스마트 환경, 사회적 지속가능성, 시민 참여 및 경험 중심의 도시 설계에 대한 연구를 심도 있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시티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인구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도시 맥락 분석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시 내 다양한 계층과 집단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공간 및 서비스 모델을 제안합니다. 또한, 탄소중립 도시, 친환경 커뮤니티, 워케이션 활성화, 빈집 활용 등 도시재생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전략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도시 현장과 연계된 실증적 프로젝트와 정책 제안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기술 중심의 스마트 시티를 넘어, 인간 중심의 경험과 사회적 가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아우르는 통합적 도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모두가 행복하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미래 도시의 비전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1
Identifying Customer Preferences through the Eye-tracking in Travel Websites focusing on Neuromarketing
Ju Yeon Kim, Mi Jeong Kim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A&HCI), 2024
2
A systematic Review of Smart City Research from Urban Contextual Perspective
Min Jee Nikki Han, Mi Jeong Kim
Cities, 2024
3
Identifying Online Learning Experiences of Architecture Students for a Smart Education Environment
Myung Eun Cho, Ju Hyun Lee, Mi Jeong Kim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A&HCI, SCIE), 2022
1
A Design Education Environment Utilizing the Continuity of Reality and Virtualit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22년 07월 ~ 2025년 06월
2
An Innovative Approach to Smart City in Relation to Demographic and Social Changes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20년 09월 ~ 2023년 12월
3
Development of a Smart School Model Supporting Adolescent’s Emotion and Creative Thinking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20년 07월 ~ 2022년 0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