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민 연구실
식품공학과 김영민
김영민 연구실은 식품공학과를 기반으로 식품가공, 기능성 식품 개발, 효소공학, 생물전환 등 다양한 식품 바이오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효소공학, 분자생물학, 구조생물학 등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하여 식품의 품질 향상과 건강기능성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녹차, 콤부차, 유자, 버섯, 보리수 등 다양한 식물성 원료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과 대체 감미료, 저칼로리 음료, 항산화 및 항비만 식품 등 건강지향적 식품 가공 기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식품의 저장성, 위생 안전성, 품질 특성 향상을 위한 전자선, 감마선, X-선 조사 기술 등 첨단 가공공정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버섯, 육류, 차류 등 다양한 식품의 미생물 제어, 품질 유지, 기능성 성분 보존에 관한 실용적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효소와 미생물을 활용한 생물전환 기술을 통해 기존 식품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능성 소재와 천연 감미료, 식이섬유, 항산화제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효소공학 분야에서는 덱스트란수크라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트랜스글루코시다아제 등 특수 효소를 이용한 고기능성 올리고당, 감미료, 캡슐화 소재의 합성 및 구조 분석, 기능성 평가를 수행합니다. 또한, 미생물 발효, 유전자 편집, 대사공학 등 최신 바이오공학 기술을 접목하여 고순도, 고효율의 기능성 식품소재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뿐만 아니라 제약, 화장품, 바이오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정부 및 산업체 과제, 특허 출원, 국내외 논문 발표,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용화 중심의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외 식품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소비자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식품 바이오공학 분야의 핵심 인재 양성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김영민 연구실은 앞으로도 식품가공 및 기능성 식품, 효소공학, 생물전환, 식품 안전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이어가며, 건강하고 안전한 식품 개발과 바이오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것입니다.
Microbial Enzymes
Curcumin
Resveratrol
식품가공 및 기능성 식품 개발
김영민 연구실은 식품가공 기술의 혁신과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식품의 가공 공정 최적화, 품질 향상, 저장성 증진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선 및 감마선 조사 기술을 활용하여 버섯, 육류 등 식품의 미생물 안전성과 저장성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식품의 위생적 품질과 소비자 신뢰도를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녹차, 콤부차, 유자, 보리수 등 다양한 식물성 원료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효소공학, 분자생물학, 구조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유용 성분의 추출, 변환,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고,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음료 및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연구합니다. 특히, 카테킨, 베타글루칸, 폴리페놀 등 생리활성물질의 기능성 평가와 대사체 분석을 통해 항산화, 항비만, 면역증강 등 다양한 건강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소비자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영민 연구실은 산업체와의 협력, 정부 과제 수행, 특허 출원 등 실용화 중심의 연구를 통해 국내외 식품가공 및 기능성 식품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효소공학 및 생물전환 기술을 활용한 식품소재 혁신
본 연구실은 효소공학과 생물전환 기술을 식품소재 개발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미생물 및 식물 유래 효소를 이용해 천연 감미료, 식이섬유, 생리활성물질의 구조 변환 및 기능성 증진을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덱스트란수크라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트랜스글루코시다아제 등 특수 효소를 활용하여 이소말토올리고당, 글루코실 스테비오사이드, 루부소사이드 등 고기능성 올리고당 및 감미료를 합성하고,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건강기능성을 평가합니다.
생물전환 기술을 통해 기존 식품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창출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녹차 카테킨의 생체이용률 향상, 스테비오사이드의 쓴맛 저감, 클로파지민 등 난용성 약물의 수용성 증진을 위한 사이클로덱스트란 캡슐화 기술 등 다양한 응용 연구를 수행합니다. 또한, 미생물 발효 및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접목하여 고순도, 고효율의 기능성 소재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효소공학 및 생물전환 기반 연구는 식품뿐만 아니라 제약, 화장품, 바이오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김영민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와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혁신적인 식품소재 개발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1
Differences in extraction methods influenc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radic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orphyran from Pyropia dentata
이하늘, 박보람, 임현정, 홍성진, 김영민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202505
2
Effects of X-ray irradiation on pathogen inactivation, quality changes, and hydrocarbon profiles of pork cutlets
송범석, 조민지, 윤기남, 김재경, 박종흠, 김상수, 염서준, 김영민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411
3
Optimization of microbial consortia and materials composition enhances gluconic acid content in kombucha
고숙주, 김은혜, 장다은, 홍성진, 정아영, 김영민
JOURNAL OF FOOD SCIENCE, 202411
3
24 푸드테크 애로기술 해결과제(한국제다)_감농작설차의 제조공정 기술개발 및 품질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