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 의약생명공학과

김석호 교수

동아대학교

의약생명공학과 김석호

동아대학교 건강과학과 김석호 교수 연구실은 면역학을 기반으로 한 종양미세환경의 이해와 항암면역치료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는 선도적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종양 내 면역시스템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종양미세환경에서 면역세포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종양의 성장과 면역회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오믹스 분석, 세포 이미징, 네트워크 분석 등 첨단 연구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종양미세환경 내 면역세포의 기능적 변화와 신호전달 경로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살해세포(NK세포)를 기반으로 한 면역세포치료제 및 CAR-NK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NK세포는 선천면역계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종양세포를 신속하게 인식하고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CAR-NK 생산 공정의 최적화, 융복합 항체 및 나노물질을 활용한 NK세포의 종양 내 유입 촉진, 면역억제성 종양미세환경 극복 기술 등 다양한 혁신적 접근법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전임상 및 임상시험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관련 특허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또한, 종양미세환경의 면역억제성을 극복하고 면역세포의 항종양 활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항암면역치료제 및 융합 항체신약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종양 내 자연살해세포의 유입을 촉진하거나, 종양세포의 면역회피 기전을 차단하는 새로운 항체 및 융합 단백질의 설계와 검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난치암(췌장암, 난소암, 유방암 등)을 대상으로 한 치료제의 효능 및 안전성 평가, 병용요법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제약사, 병원,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차세대 항암면역치료제의 상용화와 환자 치료의 혁신을 선도하고자 합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실은 난치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대안을 제공하고, 맞춤형 면역치료 전략 개발을 통해 암 극복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폭넓은 연구와 산학협력을 바탕으로, 미래 항암면역치료 분야의 혁신을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종양미세환경과 면역세포 네트워크 분석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은 종양의 성장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면역세포, 기질세포, 혈관, 신호전달물질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복잡한 환경입니다. 본 연구실은 면역학적 관점에서 종양미세환경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종양 내에서 면역세포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종양의 면역회피 및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최신 오믹스 분석, 세포 이미징,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첨단 연구기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종양 내 면역시스템의 네트워크를 해석함으로써, 면역억제성 세포(예: MDSC, Treg)와 항종양 면역세포(예: NK세포, CD8+ T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이들 세포의 기능적 변화와 신호전달 경로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종양이 면역시스템을 어떻게 조절하고, 면역치료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게 되는지에 대한 기전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종양미세환경 내에서 면역세포의 역할을 이해하고, 면역치료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표적을 발굴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는 환자 맞춤형 면역치료 전략 개발과 난치암 극복을 위한 혁신적인 치료법 제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연살해세포(NK세포) 기반 면역세포치료제 및 CAR-NK 기술 개발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NK cell)는 선천면역계의 주요 구성원으로, 종양세포와 바이러스 감염세포를 신속하게 인식하고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NK세포의 항종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NK세포치료제 및 유전자 조작 기반의 CAR-NK(Chimeric Antigen Receptor-NK)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난치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세포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CAR-NK 기술은 NK세포에 종양특이적 항원을 인식할 수 있는 키메라 항원수용체를 도입함으로써, 기존 NK세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강력하고 표적화된 항암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본 연구실은 CAR-NK 생산 공정의 최적화, 융복합 항체 및 나노물질을 활용한 NK세포의 종양 내 유입 촉진, 면역억제성 종양미세환경 극복 기술 등 다양한 혁신적 접근법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전임상 및 임상시험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관련 특허 및 기술이전, 산학협력 프로젝트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NK세포 기반 면역치료제를 통해 난치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대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항암면역치료제 및 융합 항체신약 개발
본 연구실은 종양치료를 위한 다양한 항암면역치료제 및 융합 항체신약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종양미세환경의 면역억제성을 극복하고, 면역세포의 항종양 활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항체치료제, 면역관문억제제, 융합 단백질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종양 내 자연살해세포의 유입을 촉진하거나, 종양세포의 면역회피 기전을 차단하는 새로운 항체 및 융합 단백질의 설계와 검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제 개발은 세포 및 동물모델을 활용한 전임상 연구뿐만 아니라, 실제 환자 유래 세포 및 조직을 이용한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난치암(췌장암, 난소암, 유방암 등)을 대상으로 한 치료제의 효능 및 안전성 평가, 병용요법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제약사, 병원,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차세대 항암면역치료제의 상용화와 환자 치료의 혁신을 선도하고자 합니다.
1
Progranulin attenuates liver fibrosis by downregulat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Yoo W, Lee J, Noh KH, Lee S, Jung D, Kabir MH, Park D, Lee C, Kwon KS, Kim JS, Kim S
Cell Death Dis., 2019.10
2
The Yap-NMU axis is associated with pancreatic cancer progression and poor outcome:Identification of a Novel Diagnostic Biomarker and Therapeutic Target
Yoo W, Lee J, Jun E, Noh KH, Lee S, Jung D, Jung KH, Kim JS, Park YY, Kim SC, Kim S
Cancers (Basel), 2019.09
3
An antibody designed to improve adoptive NK-cell therapy inhibits pancreatic cancer progression in a murine model
Jaemin Lee, Tae Heung Kang, Wonbeak Yoo, Hyunji Choi, Seongyea Jo, Kyungsu Kong, Sang-Rae Lee, Sun-Uk Kim, Ji-Su Kim, Duck Cho, Janghwan Kim, Jeong-Yoon Kim, Eun-Soo Kwon, Seokho Kim
CANCER IMMUNOLOGY RESEARCH, 2019
1
CAR-NK 92 cell line 확립 및 lenti-viral 기반 Cord Blood derived CAR-NK 원천기술 개발
동남권원자력의학원
2023년 03월 ~ 2023년 12월
2
[2차년도]종양 기억 NK 세포치료제 공정개발 연구
한국연구재단(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03월 ~ 2024년 02월
3
[2차년도]신규 CAR-NK 유효성 평가, 면역원성 분석 및 동결보존제 개발연구
한국연구재단(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 2023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