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유헌 연구실

동국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박유헌 교수

Androgen Receptor Assays

Estrogen Receptor Assay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박유헌 연구실

식품생명공학과 박유헌

박유헌 연구실은 식품생명공학 분야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EDCs) 판별 및 평가,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세포배양식품 안전성 평가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인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 및 식품 내 유해물질의 작용 기전과 안전성 평가를 위한 첨단 분석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OECD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세포 기반 내분비계 장애물질 판별 시험법 개발 및 국제표준화에 있어 국내외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다양한 세포주 기반 분석법과 생물 발광 공명 에너지 전달(BRET) 기술을 활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스크리닝 및 작용 기전 규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 환경,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안전성 평가와 규제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녹차, 프로바이오틱스, 폴리페놀, 생약 등 천연물 기반의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과 이들의 항산화, 항비만, 근육 기능 개선, 간 보호, 피부 건강 등 다양한 생리활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효소 처리 및 발효 공정을 적용하여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과 생체 이용률을 극대화하는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세포배양식품(배양육 등) 및 대체 단백질의 안전성 평가 연구를 확대하여, 새로운 식품 원료 및 생산 공정에 따른 독성 및 내분비계 장애 가능성 평가,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국제 표준화 연구 등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정부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용화 및 정책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박유헌 연구실은 식품생명공학의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안전한 식품 환경 조성, 그리고 미래 식량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Androgen Receptor Assays
Estrogen Receptor Assay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내분비계 장애물질(EDCs) 판별 및 평가 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의 판별 및 평가를 위한 첨단 세포 기반 분석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환경, 식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체에 노출될 수 있으며, 호르몬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리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실은 인간 에스트로겐 및 안드로겐 수용체 결합 반응 시험법,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발현 세포주 기반 전사활성화 방법 등 다양한 OECD 국제표준 시험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생물 발광 공명 에너지 전달(BRET) 기반의 수용체 결합 및 이합체화 분석법, 세포주를 이용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효능 및 독성 평가법 등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여, 기존의 방사성 동위원소 기반 분석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작용 기전을 세포 수준에서 정밀하게 규명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스크리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연구 성과는 식품, 환경,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안전성 평가 및 규제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규제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시험법의 국제표준화 및 실용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기능성 식품 소재 및 생리활성 연구
본 연구실은 다양한 기능성 식품 소재의 개발과 이들의 생리활성 평가에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녹차 추출물, 프로바이오틱스, 폴리페놀, 생약 등 천연물 기반의 식품 소재를 활용하여 항산화, 항비만, 근육 기능 개선, 간 보호, 피부 건강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효소 처리 및 발효 공정을 적용하여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과 생체 이용률을 극대화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탄나아제 처리 녹차 추출물의 근육 기능 개선 효과, 발효 녹용 및 녹용 추출물의 운동 지구력 및 조혈 활성 증진, 프로바이오틱스 및 프리바이오틱스의 장 건강 및 면역 조절 효과 등 다양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또한, 식품 가공 및 저장 중 생성될 수 있는 유해물질의 독성 평가와 안전성 확보에도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건강기능식품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식품 소재 개발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및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해 실용화와 상용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세포배양식품 및 대체 단백질 안전성 평가
최근 식품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본 연구실은 세포배양식품(배양육 등) 및 대체 단백질의 안전성 평가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세포배양식품은 동물성 식품의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으나, 새로운 원료 및 생산 공정에 따른 안전성 검증이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실은 세포배양식품의 원료 실태조사,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독성 및 내분비계 장애 가능성 평가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 규제 기준에 부합하는 평가 체계 구축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 해양수산부 등 정부기관과 협력하여, 세포배양식품의 한시적 원료 인정,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 최종산물의 안전성 검증 등 실질적인 정책 및 산업 지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양육 생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잔류물, 신물질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며, 소비자 안전 확보와 산업 발전을 동시에 도모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표준화 및 규제과학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관련 학회 및 국제회의에서 활발히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1
Enzyme-Treated Zizania latifolia Ethanol Extract Improves Liver-Related Outcomes and Fatigability (vol 13, 1725, 2024)
Ahn Yu-Jin, Kim Boyun, Kim Yoon Hee, Kim Tae Young, Seo Hyeyeong, Park Yooheon, Park Sung-Soo, Ahn Yejin
FOODS, 202408
2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estrogenic activity of resin composites
박유헌
CHEMOSPHERE, 202312
3
Chlorpropham, a carbamate ester herbicide, has an endocrine-disrupting potential by inhibiting the homodimerization of human androgen receptor
박유헌
ENVIRONMENTAL POLLUTION, 202305
1
[1단계] 식의약 규제과학 글로벌 협력연구 [1/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4년 04월 ~ 2024년 12월
2
[1단계][위탁] 수산배양육 생산 기술개발 [1/3]
해양수산부
2024년 04월 ~ 2024년 12월
3
기업 맞춤형 안전성 평가기술개발연구[1/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4년 04월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