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정규 연구실

부경대학교 언론정보전공

김정규 교수

Virtual Reality

Advertising Effectiveness

Storytelling

김정규 연구실

언론정보전공 김정규

김정규 연구실은 광고기획 및 제작,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첨단 미디어 기술을 융합한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광고 스토리텔링의 효과, 몰입형 미디어 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그리고 가상현실(VR), 혼합현실(MR) 등 신기술을 활용한 광고 및 미디어 콘텐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광고 메시지의 플롯, 메시지 자극가, 스토리텔링 유형이 소비자의 몰입과 공감,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틱톡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광고 효과 연구를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광고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과 중국 등 다양한 문화권 소비자들의 광고 수용 차이와 감정소구의 중재효과 등 국제적 맥락에서의 광고 효과도 함께 탐구하고 있습니다. 가상현실(VR) 및 혼합현실(MR) 기반 미디어 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몰입, 현존감, 공감 등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실제 광고 및 브랜드 스토리텔링에 적용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광고주와 미디어 제작자에게 VR 및 MR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과 소비자 경험 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도시명소화 전략, 미디어스트리트 조성, 사회적 기업과의 미디어콘텐츠 공급 등 미디어와 사회의 다양한 접점에서 실무적이고 응용적인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역할과 영향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산업계와 학계 모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정규 연구실은 이처럼 광고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첨단 미디어 기술의 융합을 통해 미래 지향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광고 및 미디어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가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Virtual Reality
Advertising Effectiveness
Storytelling
광고 스토리텔링과 몰입 효과 연구
광고 스토리텔링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소비자와의 감정적 연결을 형성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광고 메시지의 플롯, 메시지 자극가(MSV), 그리고 다양한 스토리텔링 유형이 소비자의 몰입과 공감, 그리고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튜브, 틱톡 등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짧은 동영상 광고와 스토리텔링 기법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광고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스토리텔링 광고의 몰입 효과는 광고 수용자의 감정적 반응과 태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연구실에서는 실험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플롯의 유형, 메시지 자극가의 수준, 그리고 광고 내 내러티브 구조가 몰입과 공감, 그리고 궁극적으로 광고 효과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광고 제작자와 마케터에게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광고의 설득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광고 산업뿐만 아니라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전반에 걸쳐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문화권(한국, 중국 등) 소비자들의 광고 수용 차이와 감정소구의 중재효과 등 국제적 맥락에서의 스토리텔링 광고 효과도 함께 탐구하여, 글로벌 광고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가상현실(VR) 및 혼합현실(MR) 기반 미디어와 광고
가상현실(VR)과 혼합현실(MR) 기술의 발전은 미디어 환경과 광고 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몰입형 미디어 환경에서의 광고 및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VR 및 MR 미디어를 활용한 브랜드 스토리텔링, 몰입, 현존감, 공감의 개념과 하위차원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적 분석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의 광고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ICT 기반의 가상현실 미디어에서 몰입 공간과 소통 이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를 진행하며, VR 미디어 사례를 통해 미디어의 환영적 몰입과 이화의 관조 등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탐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광고주와 미디어 제작자에게 VR 및 MR 환경에서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과 소비자 경험 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도시재난관리, 도시명소화 전략, 미디어스트리트 조성 등 VR 및 MR 기술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응용 가능성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래 미디어 환경에서의 광고와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산업계와 학계 모두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1
Self-traits and motivations as antecedents of digital media flow and addiction: The Internet, mobile phones, and video games
Khang, H, Kim, JK, Kim, 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311
2
The role of self-construal in consumers' electronic word of mouth (eWOM) in social networking sites: A social cognitive approach
Lee, D (Lee, Doohwang), Kim, HS (Kim, Hyuk Soo), Kim, JK (Kim, Jung Kyu)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205
3
Self as an antecedent of mobile phone addiction
Khang, H (Khang, Hyoungkoo), Woo, HJ (Woo, Hyung-Jin), Kim, JK (Kim, Jung Kyu)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COMMUNICATIONS, 2012
1
사회적 기업과 매칭을 통한 미디어콘텐츠 공급
(재)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2021년 03월 ~ 2021년 0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