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GIST NetAI Laboratory

광주과학기술원 AI대학원 김종원 교수

GIST NetAI 연구실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 네트워크 인텔리전스, AI 융합 서비스, 그리고 자율주행 및 엣지-클라우드 인프라 등 첨단 ICT 융합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Kubernetes, SDN/NFV, DevOps/DevSecOps, Docker 등 최신 오픈소스 및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대규모 멀티사이트 클라우드-에지 테스트베드(SmartX Playground, K-ONE Playground 등)를 구축·운영하며, 실제 환경에서의 실증적 연구와 기술 검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SDI),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멀티 클러스터 오케스트레이션, 자원 가시성(Visibility) 프레임워크, 그리고 자동화된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및 보안 체계입니다. SmartX Multi-View Visibility Framework, SmartX MultiSec 등 자체 개발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복잡한 클라우드-에지 환경에서의 자원·네트워크·서비스의 통합 모니터링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DevSecOps 기반의 자동화된 배포·운영·보안 체계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AI 융합 자율주행, V2X 기반 커넥티드 플랫폼, 엣지-클라우드 데이터레이크, 블록체인 기반 분산 스토리지 등 미래형 모빌리티 및 CPS(사이버-물리 시스템) 분야의 핵심 기술도 활발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데이터셋 수집·가공·제공,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 파이프라인, AI 기반 의사결정 지원,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및 지연 측정, eBPF 기반 네트워크 가시성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실증적으로 개발하고, 실제 산업 현장 및 도시 인프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IITP, NIPA, KAIA, KIAT 등)와 오픈소스 생태계 기여, 국제 표준화 활동, 그리고 다양한 학술·산업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인텔리전스 및 AI 융합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타트업 창업 지원, 오픈 이노베이션, 실용적 연구 성과의 산업화 등 혁신적 연구문화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GIST NetAI 연구실은 '코딩을 즐기고, 빅씽(Big Things)을 다루며, AI와 클라우드, 네트워크, 데이터, 오픈소스,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집약적 연구를 추구한다'는 비전을 바탕으로, 차세대 ICT 융합 인재 양성과 미래 사회 혁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다양한 실증 인프라와 오픈된 연구 환경은 학생, 연구자, 산업계 모두에게 새로운 도전과 기회의 장을 제공합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