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GIST NetAI Laboratory

광주과학기술원 AI대학원

김종원 교수

SDN-Cloud Integration

Edge-Cloud Security

IoT-Cloud Services

GIST NetAI Laboratory

AI대학원 김종원

GIST NetAI 연구실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 네트워크 인텔리전스, AI 융합 서비스, 그리고 자율주행 및 엣지-클라우드 인프라 등 첨단 ICT 융합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Kubernetes, SDN/NFV, DevOps/DevSecOps, Docker 등 최신 오픈소스 및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대규모 멀티사이트 클라우드-에지 테스트베드(SmartX Playground, K-ONE Playground 등)를 구축·운영하며, 실제 환경에서의 실증적 연구와 기술 검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SDI),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멀티 클러스터 오케스트레이션, 자원 가시성(Visibility) 프레임워크, 그리고 자동화된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및 보안 체계입니다. SmartX Multi-View Visibility Framework, SmartX MultiSec 등 자체 개발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복잡한 클라우드-에지 환경에서의 자원·네트워크·서비스의 통합 모니터링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DevSecOps 기반의 자동화된 배포·운영·보안 체계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AI 융합 자율주행, V2X 기반 커넥티드 플랫폼, 엣지-클라우드 데이터레이크, 블록체인 기반 분산 스토리지 등 미래형 모빌리티 및 CPS(사이버-물리 시스템) 분야의 핵심 기술도 활발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데이터셋 수집·가공·제공,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 파이프라인, AI 기반 의사결정 지원,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및 지연 측정, eBPF 기반 네트워크 가시성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실증적으로 개발하고, 실제 산업 현장 및 도시 인프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IITP, NIPA, KAIA, KIAT 등)와 오픈소스 생태계 기여, 국제 표준화 활동, 그리고 다양한 학술·산업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인텔리전스 및 AI 융합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타트업 창업 지원, 오픈 이노베이션, 실용적 연구 성과의 산업화 등 혁신적 연구문화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GIST NetAI 연구실은 '코딩을 즐기고, 빅씽(Big Things)을 다루며, AI와 클라우드, 네트워크, 데이터, 오픈소스,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집약적 연구를 추구한다'는 비전을 바탕으로, 차세대 ICT 융합 인재 양성과 미래 사회 혁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다양한 실증 인프라와 오픈된 연구 환경은 학생, 연구자, 산업계 모두에게 새로운 도전과 기회의 장을 제공합니다.

SDN-Cloud Integration
Edge-Cloud Security
IoT-Cloud Services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네트워크 인텔리전스 및 오케스트레이션
GIST NetAI 연구실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인텔리전스와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Kubernetes, SDN/NFV, DevOps, DevSecOps 등 최신 클라우드 인프라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컴퓨팅·네트워킹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의 자동화와 최적화를 실현합니다. 특히, SmartX Playground, K-ONE Playground 등 자체 구축한 대규모 멀티사이트 클라우드-에지 테스트베드를 통해 실제 환경에서의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프라 위에서 연구실은 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SDI),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멀티 클러스터 관리, 자원 가시성(Visibility) 프레임워크 등 다양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SmartX Multi-View Visibility Framework는 물리·가상·컨테이너 자원 및 네트워크 플로우의 통합 모니터링과 시각화를 제공하여, 복잡한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장애 탐지와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또한, DevSecOps 기반의 자동화된 배포·운영·보안 체계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형 네트워크 인프라의 지속가능한 오케스트레이션, AI 기반 사이버-물리 서비스의 통합, 그리고 다양한 산업 분야(자율주행, 스마트 팩토리, 에너지, 해양 등)에서 요구되는 초저지연·고신뢰 네트워크 서비스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와 오픈소스 생태계 기여를 통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인텔리전스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AI 융합 자율주행 및 엣지-클라우드 데이터 인프라
본 연구실은 AI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융합하여 자율주행 시스템, V2X(차량-사물 통신), 엣지-클라우드 데이터 인프라 등 차세대 모빌리티 및 CPS(사이버-물리 시스템) 분야의 핵심 기술을 연구합니다. 자율주행 데이터셋 수집·가공·제공을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데이터레이크(DataLake) 및 데이터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를 개발하고,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의 수집·처리·분석·AI 파이프라인을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 드론, 스마트시티 등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센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AI 기반 의사결정 및 제어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V2X 기반의 커넥티드 플랫폼, 악천후 등 외부환경 대응을 위한 엣지 클라우드,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및 지연 측정, 블록체인 기반 분산 스토리지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SmartX MultiSec, DevSecOps 자동화, eBPF 기반 네트워크 가시성, 멀티사이트 엣지 클라우드 오케스트레이션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하여, 자율주행 및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의 신뢰성과 보안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가 대형 프로젝트(예: IITP, NIPA, KAIA, KIAT 등)와 연계되어, 실제 산업 현장 및 도시 인프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국제 표준화 활동,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AI 융합 자율주행 및 엣지-클라우드 데이터 인프라 분야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1
Reinforcement Learning Based Peer-to-Peer Energy Trade Management Using Community Energy Storage in Local Energy Market
Hannie Zang, JongWon Kim
Energies, 2021.07
2
SmartX Multi-Sec: A Visibility-Centric Multi-Tiered Security Framework for Multi-Site Cloud-Native Edge Clusters
Jun-Sik Shin, JongWon Kim
IEEE Access, 2021.10
3
Spatio-temporal Summarized Visualization of SmartX Multi-View Visibility in Cloud-native Edge Boxes
Muhammad Ahmad Rathore, JongWon Kim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Systems (ComSIS), 2021
1
Development of zkp sensing,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and blockchain based cloud service convergence technology (phase 2/3) - sponsored by IITP, Korea (07/21 ~ 12/28, investigator)
IITP, Korea
2001년 07월 ~ 2001년 12월
2
Inter-university Alliance for cultivating R&D experts in Future vehicular Technologies (I4FT) (phase 2/3) - sponsored by KIAT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Korea (03/22 ~ 02/27, investigator)
KIAT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Korea
2001년 03월 ~ 2001년 02월
3
Development of hyper-connected mobility safety technology based on AI (phase 2/3) - sponsored by KAIA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Korea (04/23 ~ 12/29, investigator)
KAIA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Korea
2001년 04월 ~ 2001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