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조정민 연구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조정민 교수

조정민 연구실

의과대학 조정민

조정민 연구실은 혈액종양내과를 중심으로 다양한 암종의 치료 전략, 예후 인자, 그리고 항암제 부작용 예방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방광암 및 상부요로암과 같은 요로상피암 환자에서의 항암화학요법 및 면역관문억제제의 임상적 효과와 치료 주기별 생존율 차이에 대한 대규모 후향적 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근육침윤성 방광암 환자에서 신보조항암화학요법 후 영상의학적 평가와 병리학적 완전관해 간의 일치도 및 불일치 요인을 분석하여, 영상진단과 실제 병리 결과 간의 차이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개별 특성에 따른 치료 및 평가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의 질을 높이고 예후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항암제 유발 급성신손상(AKI) 예방 및 기전 연구도 연구실의 핵심 분야입니다. 시스플라틴 등 항암제에 의한 신독성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동물모델을 통해 규명하고, Orexin A, Kahweol, Melatonin, Sirt1 활성제, Caspase-1 억제제 등 다양한 약물 및 신경펩타이드의 신장 보호 효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항암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희귀암(EMPD) 및 내분비저항성 유방암 등 다양한 암종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치료 전략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희귀암의 치료 효과와 예후 인자 분석, 그리고 Wnt/β-catenin 신호전달 경로와 CDK4/6 억제제의 병용 효과 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정밀의학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조정민 연구실은 국내외 주요 암 학회에서 활발히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임상과 기초 연구를 아우르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암 환자의 치료 성적 향상과 부작용 최소화, 그리고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혈액종양내과에서의 요로상피암 치료 및 예후 연구
조정민 연구실은 요로상피암, 특히 방광암 및 상부요로암 환자에서의 치료 전략과 예후 인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 시대에서 1차 백금계 항암화학요법의 주기 수(4주기 대 6주기)가 환자의 전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치료 관행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근육침윤성 방광암 환자에서 신보조항암화학요법(Neoadjuvant Chemotherapy, NAC) 후 영상의학적 평가와 병리학적 완전관해(pCR) 간의 일치도 및 불일치 요인을 분석하여, 영상진단과 실제 병리 결과 간의 차이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플라즈마세포양 요로상피암과 같은 특이 아형에서 영상과 병리 결과의 불일치가 두드러짐을 밝혀, 환자 개별 특성에 따른 치료 및 평가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국내외 주요 암 학회(ASCO, ESMO 등)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의 질을 높이고 예후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항암제 유발 급성신손상(AKI) 기전 및 예방 연구
본 연구실은 항암제, 특히 시스플라틴(cisplatin) 투여로 인한 급성신손상(AKI)의 발생 기전과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신약 및 신경펩타이드의 효과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시스플라틴은 다양한 암 치료에 널리 사용되지만, 신독성으로 인해 임상 적용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연구실에서는 Orexin A, Kahweol, Melatonin, Sirt1 활성제, Caspase-1 억제제 등 다양한 약물 및 신경펩타이드가 시스플라틴 유발 신손상에 미치는 보호 효과와 그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동물모델을 통해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들은 항산화, 항염증, 항세포사멸 효과를 중심으로, 신장 조직의 손상 완화 및 기능 보존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Orexin A는 산화스트레스 조절, p53 경로 억제, 염증성 사이토카인 감소를 통해 신장 손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irt1 활성제와 Melatonin 역시 세포사멸 및 네크롭토시스 억제, 항산화 효과를 통해 신장 보호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항암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약재창출(drug repositioning) 연구를 통해 기존 약물의 새로운 임상 적용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임상적 파급력이 큰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희귀암 및 유방암의 분자생물학적 치료 전략 개발
조정민 연구실은 희귀암(예: Extramammary Paget’s Disease, EMPD) 및 내분비저항성 유방암 등 다양한 암종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치료 전략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EMPD와 같은 희귀암의 경우, 국내 다기관 데이터를 바탕으로 표준 치료법이 부재한 상황에서 다양한 항암제(백금계, 탁산계, 항-HER2 항체 등)의 치료 효과와 예후를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법 확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내분비저항성 유방암 연구에서는 Wnt/β-catenin 신호전달 경로와 CDK4/6 억제제의 병용 효과를 탐구하여, 암세포의 줄기세포성 및 증식 억제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Tamoxifen 저항성 유방암 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β-catenin 억제제와 CDK4/6 억제제의 병용 투여가 암세포의 줄기세포성 마커와 증식 능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희귀암 및 치료저항성 암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바탕으로 한 정밀의학 실현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Four versus six cycles of platinum-based chemotherapy for advanced Urothelial carcinoma in the era of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FOCUS, KCSG-GU23-08)
Park Kwonoh, Huh Seok Jae, Lee Jae Lyun, Kim Eo Jin, Kim Jin Young, Kim Hyojeong, Park Inkeun, Park Joo-Hwan, Sohn Byeong Seok, Lee Hyo Jin, Jo Jungmin
CURRENT PROBLEMS IN CANCER, 202412
2
Does Bladder Cancer Subtype Influence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pCR) and Pelvic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MRI) Response Evaluation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Pathological
이동현, 김지민, 최은오, 조정민, 박상희, 성순희
CLINICAL GENITOURINARY CANCER, 202404
3
Treatment outcomes of advanced/metastatic extramammary Paget's disease in Korean patients: KCSG-RC20-06
Sohn B.S., Lee S.I., Lee I.H., Huh S.J., Jo J., Kim H.Y., Kim J., Kim M., Hong J.Y., Lee J., Park S.E., Kim H., Lee H.J., Kang E.J.
CANCER MEDICINE, 202307
1
Trametinib의 cisplatin-유발 급성신부전 예방효과: 신약재창출의 가능성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4년 05월
2
신경펩타이드 하이포크레틴의 시스플라틴 신장독성 예방효과 및 기전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7년 09월 ~ 2019년 0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