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재웅 연구실
성남임상병리학과 설재웅
설재웅 연구실은 임상병리학과를 기반으로 유전 및 분자역학을 중심으로 한 만성질환 및 감염병 연구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연구실은 대규모 코호트와 임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질환, 비만, 이상지질혈증 등 다양한 만성질환의 유전적 위험인자와 환경 요인의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인 집단에 특화된 질병 발생 기전과 위험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맞춤형 예방 및 관리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GWAS, Mendelian randomization, 유전-환경 상호작용 분석 등 최신 역학적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유전자 다형성과 환경 요인(흡연, 음주, 비만, 신체활동 등)이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규명합니다. 특히 CETP, MC4R, ATP2B1, ABCG2, LPL, SLC2A9 등 다양한 유전자 변이가 HDL 콜레스테롤, 혈압, 요산, 비만 등 주요 건강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가족력, 비만, 흡연 등 환경 요인과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유전적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진단 및 예측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의 조기 진단을 위한 고성능 진단키트 개발, HDL 콜레스테롤, 요산, 혈압 등 만성질환 관련 바이오마커의 유전적 변이와 임상적 지표 간의 연관성 규명, 맞춤형 진단 패널 개발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밀의료 및 예방의학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실제 임상 적용 및 산업화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특허 출원,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 수행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학회 및 국제학술대회에서 연구성과를 발표하며, 국내외 연구자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임상병리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설재웅 연구실은 앞으로도 유전 및 분자역학을 기반으로 한 만성질환과 감염병 연구, 바이오마커 및 진단기술 개발, 맞춤형 예방의학 실현을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을 이어갈 것입니다.
Binge Drinking
Adiponectin
Body Mass Index
유전 및 분자역학을 통한 만성질환의 발생 기전 연구
설재웅 연구실은 유전 및 분자역학을 기반으로 만성질환, 특히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질환 등과 같은 대사질환의 발생 기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유전자 다형성과 환경 요인(흡연, 음주, 비만 등)이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대규모 코호트 및 임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며, 이를 통해 한국인 집단에 특화된 유전적 위험 인자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GWAS(전장유전체연관분석)와 Mendelian randomization 등 최신 역학적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유전자-환경 상호작용 및 유전적 위험점수(Genetic Risk Score, GRS)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ETP, MC4R, ATP2B1, ABCG2, LPL 등 다양한 유전자 변이가 HDL 콜레스테롤, 혈압, 요산, 비만 등 주요 건강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가족력, 비만, 흡연 등 환경 요인과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규명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질병의 조기 예측 및 맞춤형 예방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또한, 한국인의 유전적 특성을 반영한 질병 예측 모형 개발과, 유전적 위험군에 대한 집중 관리 방안 제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전적 바이오마커 및 진단기술 개발
연구실은 유전적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질병 진단 및 예측기술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의 조기 진단을 위해 항체-양자점 결합체를 이용한 고성능 진단키트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기존 진단법 대비 50배 이상의 민감도를 확보하였습니다. 이러한 진단키트는 다양한 바이러스 항원 및 항체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어, 감염병의 신속한 대응과 확산 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HDL 콜레스테롤, 요산, 혈압 등 만성질환 관련 바이오마커의 유전적 변이와 임상적 지표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개인별 맞춤형 건강관리 및 질병 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 진단 패널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ETP, LPL, ABCG2, SLC2A9 등 다양한 유전자 변이가 혈중 지질, 요산, 혈압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고위험군 선별 및 조기 개입의 근거를 마련합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임상병리학적 진단기술의 혁신을 이끌며, 정밀의료 및 예방의학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허 출원 및 산업화 연계를 통해 실제 의료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1
Association of MC4R (rs17782313) with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 men and women
Sull J.W., Kim G., Jee S.H.
BMC Medical Genetics, 202008
2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gout: a meta-analysis
Jee, Y (Jee, Yongho), Jeon, C (Jeon, Christina), Sull, JW (Sull, Jae Woong), Go, E (Go, Eunna), Cho, SK (Cho, Sung Kweon)
CLINICAL RHEUMATOLOGY, 201807
3
Effect of smoking on the association of HHEX (rs5015480) with diabetes among Korean women and heavy smoking men
Sull, JW (Sull, Jae Woong), Lee, TY (Lee, Tae Yong), Jee, SH (Jee, Sun Ha)
BMC MEDICAL GENETICS, 201805
1
저아디포넥틴증과 비만에 대한 mendelian randomization 분석과 전장유전체-환경 상호작용 연구(GWEIS)
2
고요산혈증과 비만의 mendelian randomization 분석과 유전환경 상호작용 연구
3
HDL subtypes와 이상지혈증의 유전-환경 상호작용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