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진 연구실
건축학 정혜진
정혜진 연구실은 건축 역사 및 이론을 기반으로, 현대 도시와 건축 공간의 장소성, 공공성, 그리고 도시재생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공항, 철도역, 대중교통 중심지 등 교통 인프라 공간을 중심으로, 이들이 도시 내에서 어떻게 새로운 장소성을 획득하고, 지역사회와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분석을 진행합니다.
특히, 공항 및 공항도시의 현대적 장소성 창출, 비-장소적 특성의 공간이 도시의 새로운 중심지로 변화하는 과정, 그리고 인프라와 건축 공간의 통합적 설계 원리에 주목합니다. 이를 위해 마크 오제의 비-장소 이론, 현대 건축의 기념비성, 그리고 글로벌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공간적 특성 등 다양한 이론적 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공간의 재구조화, 도시재생, 그리고 공공공간의 질적 향상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재생, 고속철도역 및 역세권 개발, 그리고 도시 내 다양한 인프라 공간의 재구조화 전략에 대한 국내외 사례 연구를 활발히 수행합니다. 일본 도야마시, 큐슈 지역, 독일 베를린, 베트남 호치민 등 다양한 도시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교통 인프라와 도시공간의 통합적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설계적 제안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현대 도시건축에서의 공공성, 소음 및 환경 쾌적성,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등 주민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실증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공간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도시민의 안전과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
정혜진 연구실은 건축 이론과 실무, 도시계획과 설계, 그리고 사회적 이슈를 융합하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미래 도시와 건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궁극적으로 연구실은 인간 중심의 도시환경 조성과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Airport Architectur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공항 및 교통 인프라 건축의 장소성과 비-장소성 연구
정혜진 연구실은 공항 및 교통 인프라 건축의 장소성과 비-장소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공항은 전통적으로 '비-장소(non-place)'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도시의 새로운 중심지로서 장소성을 획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마크 오제(Marc Augé)의 비-장소 개념을 바탕으로, 공항이 어떻게 지역성과 글로벌 네트워크의 교차점이 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공간이 도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공항의 유휴부지 활용, 인프라와 건축 공간의 통합, 그리고 공항도시의 현대적 장소성 창출에 주목합니다. 공항 건축은 단순한 이동의 공간을 넘어,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공성을 수용하는 복합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러한 변화가 도시 구조와 주민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공항이 도시재생 및 지역 발전의 거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이와 함께, 공항 및 교통 인프라 공간의 설계 원리, 공간적 특성, 그리고 사용자 경험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공항이 단순한 통과 지점이 아닌, 새로운 도시적 장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적·도시적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현대 도시건축의 장소성, 공공성, 그리고 도시재생
정혜진 연구실은 현대 도시건축에서의 장소성(place), 공공성(publicness), 그리고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합니다. 도시의 공공공간, 광장, 필로티 공간, 고가 하부공간 등 다양한 도시 건축적 요소들이 어떻게 현대 도시의 장소성을 형성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특히,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재생, 고속철도역 및 역세권 개발, 그리고 도시 내 다양한 인프라 공간의 재구조화 전략에 주목합니다. 연구실은 일본 도야마시, 큐슈 지역, 독일 베를린, 베트남 호치민 등 국내외 다양한 도시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교통 인프라와 도시공간의 통합적 발전 방안을 모색합니다. 또한, 애플스토어와 같은 현대적 상업공간의 기념비적 표현, 공공화된 사유공간의 계획 특성 등 현대 도시건축의 새로운 공공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 내 소음, 범죄불안감, 환경적 쾌적성 등 주민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도시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적·설계적 제안을 도출하는 데 기여합니다. 궁극적으로 연구실은 도시와 건축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적 시각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하고 인간 중심적인 도시환경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A paradigm shift in the fences of a new play affordance city
박소람, 정혜진, 오상은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02407
2
Integrative generation of Korea's "Dosan Seowon" architectural space
오상은, 박소람, 정혜진
OPEN HOUSE INTERNATIONAL, 202302
3
Pavilion as an Architecture of New Placeness : A Case of Serpentine Pavilion Project
정혜진, 박소람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02112
1
신사동 학생공모전 대상지 주민의견수렴 및 기초조사 용역
2
[Ezbaro] 현대적 장소성을 위한 건축도시공간 계획수법 및 모델수립연구 : 공항 및 공항도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