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곤 연구실
치의학과/치의예과 김성곤
김성곤 연구실은 치의학과를 기반으로 구강악안면종양학, 악안면외과, 생체재료 및 조직재생, 환자 맞춤형 수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구강암, 악성 흑색종, 양성 종양 등 다양한 구강악안면 영역의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 그리고 수술 후 재건 및 기능 회복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임상적, 병리학적,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며,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특히, 실크단백질(세리신, 피브로인 등)과 4-헥실레조르시놀을 활용한 바이오소재 개발 및 조직재생 연구는 연구실의 대표적인 강점입니다. 실크단백질 기반의 인공뼈, 골이식재, 차폐막 등은 골재생, 조직재생, 창상치유 등 다양한 임상적 문제에 적용되고 있으며, 4-헥실레조르시놀의 항염, 항암, 항노화, 혈당 조절 효과를 이용한 골질환 및 당뇨병 합병증 치료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다수의 특허와 기술이전, 산업화 성과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3D 프린팅, 가상 수술 계획, 맞춤형 임플란트 및 수술 가이드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악교정 수술, 악골 재건, 임플란트 시술 등에서 환자 맞춤형 치료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수술의 정확도와 환자의 예후를 크게 향상시키며, 임상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동물모델과 전임상 실험, 임상시험을 통해 새로운 수술법과 바이오소재의 안전성과 효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학술대회 및 저명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성과를 발표하며,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용화 및 상용화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김성곤 연구실은 앞으로도 구강악안면외과 및 치의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 혁신적인 연구와 임상적 응용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 첨단 바이오소재 개발, 그리고 임상과 기초연구의 융합을 통해, 치의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4-Hexylresorcinol
Shear Stress Proteome
Bone Regeneration
구강악안면종양학 및 악안면외과적 치료
김성곤 연구실은 구강악안면종양학 분야에서 다양한 악성 및 양성 종양의 진단과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구강암, 악성 흑색종, 양성 종양 등 다양한 구강악안면 영역의 종양 질환에 대해 임상적, 병리학적,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치료법과 진단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종양의 조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연구와,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악안면외과적 수술 기법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 및 가상 수술 계획(Virtual Surgical Planning), 맞춤형 수술 가이드,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악교정 수술, 악골 재건, 종양 절제 후 재건 등 다양한 임상적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수술의 정확도와 환자의 예후를 크게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악안면외과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예방과 관리, 수술 후 재활 및 기능 회복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합병증의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환자 맞춤형 치료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생체재료 및 조직재생: 실크단백질과 4-헥실레조르시놀의 응용
본 연구실은 실크단백질(세리신, 피브로인 등)과 4-헥실레조르시놀을 활용한 생체재료 개발 및 조직재생 연구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크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치과용 인공뼈, 골이식재, 차폐막 등 다양한 바이오소재를 개발하여 골재생, 조직재생, 창상치유 등 여러 임상적 문제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크 세리신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효과, 골형성 촉진 메커니즘, 대식세포와의 상호작용 등 기초 및 응용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4-헥실레조르시놀은 항염, 항암, 항노화, 혈당 조절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물질로, 연구실에서는 이를 활용한 골질환 예방 및 치료, 당뇨병 합병증 관리, 조직재생 촉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실크단백질과 4-헥실레조르시놀의 조합을 통해 창상치유, 혈관재생, 골재생 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관련 특허와 기술이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실험, 임상시험, 세포 및 분자 수준의 기초연구를 아우르며,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 바이오소재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용화 및 상용화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악교정 및 임플란트 수술의 혁신과 환자 맞춤형 치료
김성곤 연구실은 악교정 수술 및 치과 임플란트 분야에서 환자 맞춤형 치료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3차원 영상 분석, 가상 수술 계획,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수술 가이드 및 임플란트 개발을 통해, 수술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악교정 수술, 악골 결손부 재건, 임플란트 시술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특성과 요구에 최적화된 치료를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맞춤형 티타늄 임플란트, 생흡수성 고정장치, 환자 맞춤형 금속 판 등 첨단 재료와 기술을 접목하여, 기존의 표준화된 치료법보다 더 나은 예후와 기능적, 심미적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합병증 예방, 골유도재생술, 연조직 재건 등 수술 전후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연구하여, 환자의 빠른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임상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모델과 전임상 실험을 통해 새로운 수술법과 재료의 안전성 및 효과를 검증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학술대회 및 저명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1
Nonessential amino acid is not nonessential in geriatric patients: implications for maxillofacial wound healing and bone repair
김성곤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202505
2
Sericin’s Potential in Osteoporosis Management: The Roles of L-Serine and D-Serine in Bone Metabolism Regulation
김성곤, 김좌영, Xiangguo Che, 김시현, 최종호, 이준하, 이지혜, 권해용, 이석근, 최제용
NUTRIENTS, 202502
3
Therapeutic potential of 4-hexylresorcinol in reducing sarcopenia in diabetic masseter muscle
김성곤, Dhouha Gaida, 박영욱, 강예진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202501
1
악교정 수술을 위한 환자 맞춤형 수술가이드에 관한 분석연구
2
실크 세리신을 이용한 골다공증 및 골이식재 소재화 기술 개발
3
실크 매트릭스를 이용한 치과용 생체 재료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