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주 연구실
식품영양학과 박은주
박은주 연구실은 식품영양학과 임상영양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임상영양학을 기반으로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환자 맞춤형 영양치료, 그리고 다양한 인구집단을 위한 영양상태 평가 및 식이조사 도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심혈관질환, 대사증후군, 암 등 주요 만성질환과 식이요인 간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임상현장에서의 영양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기능성 식품 및 천연물의 항산화, 항유전독성, 항암, 면역조절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양파껍질, 솔잎, 고구마, 진주담치, 미더덕, 한약재 등 다양한 식품소재를 대상으로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능성 떡, 음료, 쿠키 등 실제 식품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등 통계적 방법과 동물실험, 인체적용시험을 병행하여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노인복지시설, 요양병원, 다문화가정 등 다양한 특수집단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영양관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연구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영양사의 역할, 교육 참여 동기, 저해 요인 분석 등을 통해 현장 실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개선책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식품 내 생리활성 성분의 작용기전 규명, 임상영양서비스의 표준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의 영양연구 등 미래지향적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학협력 및 정부과제 수행을 통해 연구성과의 사회적 확산과 실용화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박은주 연구실은 앞으로도 임상영양학과 기능성 식품 분야의 융합연구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식품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선도적 연구실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Immune Enhancement
Probiotics
Nutrigenomics
임상영양학과 만성질환 예방
임상영양학은 환자 개개인의 건강 상태와 질병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영양관리를 제공하는 학문입니다. 박은주 연구실은 임상영양학의 원리를 바탕으로 다양한 만성질환, 특히 심혈관질환, 당뇨병, 대사증후군, 암 등과 관련된 영양요인 및 식이요법의 효과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식이섭취조사, 영양상태 평가, 임상시험 등을 수행하며, 영양소 섭취와 질병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연구실에서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실효성 증진을 위해 의료진, 영양사, 환자 간의 소통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인복지시설이나 요양병원 등에서의 영양관리 실태와 영양사의 역할, 교육 참여 동기 및 저해 요인 등을 조사하여 실무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제시합니다. 또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고령자, 만성질환자 등 다양한 특수집단을 위한 맞춤형 식사조사 도구 개발 및 영양상태 평가법을 개발하여, 실질적인 임상영양관리의 현장 적용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상현장에서의 영양관리 표준화와 환자 맞춤형 영양치료의 근거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더불어, 임상영양학적 접근을 통해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며, 향후에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임상영양 연구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기능성 식품 및 천연물의 항산화·항유전독성 연구
박은주 연구실은 다양한 기능성 식품 및 천연물의 항산화 활성, 항유전독성 효과, 그리고 만성질환 예방 효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양파껍질, 솔잎, 고구마, 진주담치, 미더덕, 곡류, 한약재 등 다양한 식품 및 식물성·해양성 소재를 대상으로 항산화력, DNA 손상 보호능, 항암효과, 면역조절 효과 등을 평가합니다. 이를 위해 DPPH, ORAC, TRAP, comet assay 등 다양한 생화학적·분자생물학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식품 내 생리활성 성분의 기능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능성 떡, 음료, 쿠키 등 실제 식품으로 개발 가능한 제품의 최적 배합비와 제조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 등 통계적 방법을 통해 도출하고, 동물실험 및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그 효능을 검증합니다. 예를 들어, 솔잎 착즙액을 첨가한 설기떡, 발효 한약재 음료, 흰점박이꽃무지 음료, 다시마 음료 등 다양한 기능성 식품의 항산화 및 대사질환 개선 효과를 밝혀내고, 산업체와의 협력 연구를 통해 실용화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및 맞춤형 식품 개발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국민 건강 증진과 식품산업 발전에 기여합니다. 앞으로도 새로운 천연소재의 발굴과 기능성 평가, 그리고 분자수준의 작용기전 규명을 통해 기능성 식품 분야의 선도적 연구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1
Combined effect of whey protein hydrolysates and probiotics on oxidative stress induced by iron-overloaded diet in rats
박은주, 이승민, 백현동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8
2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functional peptides from ovotransferrin hydrolysates
Lee, JH (Lee, Jae Hoon), Moon, SH (Moon, Sun Hee), Kim, HS (Kim, Hyun Suk), Park, E (Park, Eunju), Ahn, DU (Ahn, Dong Uk), Paik, HD (Paik, Hyun-Dong)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2017
3
Immune-enhancing activity of phosvitin by stimulating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Lee, JH (Lee, J. H.), Moon, SH (Moon, S. H.), Kim, HS (Kim, H. S.), Park, E (Park, E.), Ahn, DU (Ahn, D. U.), Paik, HD (Paik, H. D.)
POULTRY SCIENCE, 2017
1
대사성질환개선효능을 가진 기능성떡 생산 조건확보 및 고품질의떡개발
2
죽염과 쥐눈이콩의 발효에 의해 생성된 발효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발효음료의기능성효능검증
3
대사증후군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다시마 음료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