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MAIN - FDCL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김유단 교수

Trajectory Optimization

Morphing Aircraft

UAV Guidance and Navigation

MAIN - FDCL

항공우주공학과 김유단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비행동역학 및 제어 연구실(Flight Dynamics and Control Laboratory, FDCL)은 항공기, 우주선, 무인항공기(UAV), 미사일 등 다양한 항공우주 비행체의 유도, 항법, 제어(GNC) 시스템을 심도 있게 연구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이론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제 환경에서의 불확실성, 외란, 고장 상황에 강인한 첨단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항공우주 비행체의 자세 및 궤적 제어, 자동 이착륙, 충돌 회피, 다수 비행체의 협력 임무, 미사일 유도 및 제어, 우주발사체 궤적 최적화, 소형 위성(CubeSat) 및 분산형 위성 시스템의 GNC 등입니다. 특히, 고장허용 제어, 적응제어, 강화학습 기반 제어, 분산형 제어 등 최신 인공지능 및 데이터 기반 기법을 접목하여, 미래 항공우주 시스템의 자율화와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실험실은 다양한 고정익/회전익 무인기, HILS(Hardware-In-the-Loop Simulation) 시스템 등 첨단 실험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 비행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 결과의 실효성을 검증합니다. 또한, 국방과학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LIG넥스원, 한화 등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연구 성과의 실용화와 기술 이전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최근 달 궤도선, 재사용 우주비행체, 고고도방어 유도탄, 자율비행로봇 등 첨단 미래 항공우주 시스템의 GNC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가 및 산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시간 데이터 기반 자율비행, 고장진단 및 복구, 임무 최적화, 분산 협력제어 등 혁신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FDCL은 국내외 항공우주 분야의 학술 및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항공우주 시스템의 안전성, 신뢰성, 효율성, 자율성 향상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Trajectory Optimization
Morphing Aircraft
UAV Guidance and Navigation
항공우주 비행체의 유도, 항법 및 제어(GNC) 시스템
본 연구실은 항공기, 우주선, 무인항공기(UAV), 미사일 등 다양한 항공우주 비행체의 유도, 항법 및 제어(GNC) 시스템을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GNC 시스템은 비행체의 위치, 자세, 속도, 경로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임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연구실에서는 이론적 모델링과 실험적 검증을 병행하여, 실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불확실성과 외란에 강인한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행체의 자세 제어, 자동 이착륙, 충돌 회피, 궤적 최적화, 다수 비행체의 편대비행 및 협력제어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다룹니다. 예를 들어, 무인항공기의 자동 이착륙 및 지형추종 비행, 미사일의 충돌각 및 충돌시간 제어, 위성의 궤도 및 자세 제어 등 실제 임무에 적용 가능한 첨단 GNC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적응제어, 강화학습 기반의 최적제어, 분산형 제어 등 최신 인공지능 및 데이터 기반 기법을 접목하여,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실 내 다양한 실험 플랫폼(고정익/회전익 무인기, HILS 시스템 등)을 활용한 실증 연구와 함께, 국내외 항공우주 산업체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실제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래 항공우주 시스템의 안전성, 신뢰성,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고장허용 및 지능형 무인항공기/우주선 제어
연구실은 고장허용 제어(Fault-Tolerant Control) 및 지능형 무인항공기/우주선의 자율비행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고장허용 제어는 비행체의 센서, 구동기, 제어면 등 주요 구성요소에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임무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 고장 진단 및 다중화 관리, 상태 추정, 적응제어, 제어 할당 등 다양한 이론적·실용적 기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인항공기(UAV) 및 소형 위성(CubeSat) 등 소형화·지능화되는 비행체의 특성에 맞는 고장 진단 및 자율 복구 알고리즘을 개발합니다. 예를 들어, 확장 칼만필터, 연합 칼만필터, 신경망 기반 상태 추정, 분산형 정보 필터 등 첨단 신호처리 및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고장을 탐지하고, 제어 시스템을 재구성하여 비행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다수 무인기 협력 임무에서의 분산형 고장 진단 및 임무 재할당, 자율 복구 전략도 연구의 중요한 축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무인기, 위성, 미사일 등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되어, 임무 중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응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더불어, 데이터 학습 및 공유 기반의 자율비행, 강화학습 기반의 적응제어, 실시간 임무 최적화 등 최신 AI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미래 항공우주 시스템의 완전 자율화와 고신뢰성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미사일 및 우주발사체의 궤적 최적화와 첨단 유도제어
본 연구실은 미사일, 우주발사체, 활공체 등 다양한 비행체의 궤적 최적화 및 첨단 유도제어 기술을 집중적으로 연구합니다. 궤적 최적화는 비행체가 제한된 연료와 환경 조건 하에서 목표 지점에 도달하거나, 특정 임무(예: 충돌각, 충돌시간, 최종 속도 등)를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와 제어 입력을 산출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 시간유한요소법, 직접식/간접식 최적화, 순차적 볼록 최적화, 신경망 기반 경로 재계획 등 다양한 수치해석 및 데이터 기반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사일 유도에서는 충돌각 제어, 충돌시간 제어, 시야각 제한, 목표 기동 대응 등 복잡한 제약조건을 고려한 유도법칙 설계가 중요합니다. 연구실은 비례항법, 백스테핑, 슬라이딩 모드, 벡터필드 기반 유도, 강화학습 기반 유도 등 다양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실제 환경에서의 신뢰성과 정밀도를 극대화하는 유도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합니다. 또한, 우주발사체의 다단 궤적 최적화, 재사용 우주비행체의 재진입 경로 설계, CubeSat 및 소형 위성의 궤도 유지 및 재구성 등 우주 분야로도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방, 항공우주 산업, 국가 우주개발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기술 이전과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미래의 고성능, 고정밀, 고신뢰성 미사일 및 우주발사체 시스템 개발에 있어 본 연구실의 연구 성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Command Governor for Impact-Angle Guidance to Fast Targets under Field-of-View Constraint
Seokwon Lee, Namhoon Cho, Youdan Kim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2025
2
Design a Flight Envelope Protection System using Dynamic Trim Algorithmic Environments
H. H. Shin, S. H. Lee, Y. Kim, E. T. Kim, K. J. Sung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2011
3
Genetic Algorithm Based Decectralized Task Assignment for Multiple Unmanned Aerial Vehicles in Dynamic Environments
H. Choi, Y. Kim, H. Kim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2011
1
재난현장 무선통신 추적기반 요구조자 및 소방관 위치정보시스템 개발 (공동연구원)
소방청
2019년 ~ 2022년
2
모핑날개 적용을 위한 형상기억 폴리머 복합재(SMPC) 플랩 모듈 개발 (공동연구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
2016년 ~ 2020년
3
출발 흐름 최적화 알고리즘 연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안전기술개발사업: 항공기 출발 및 도착 통합관리 기술 연구)
2014년 ~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