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기능성 식품 소재의 개발 및 생리활성 평가
이승철 연구실은 다양한 식품 및 천연물로부터 기능성 식품 소재를 개발하고, 이들의 생리활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감귤, 단감, 바나나 껍질, 율무, 새싹인삼 등 다양한 식물성 부산물과 해양생물(미더덕, 홍합 등)을 활용하여 항산화, 항비만, 항고혈압, 미백, 알코올 분해 촉진 등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를 탐색합니다. 각 소재의 추출 및 가공 조건을 최적화하여 유효 성분의 함량과 생리활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이 과정에서 연구실은 반응표면분석법, 아임계수 추출, 효소 처리 등 첨단 식품공학적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진귤 과피, 바나나 껍질, 감귤 부산물 등은 기존에 버려지던 자원을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 전환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자원 순환과 환경 보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식품 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에 기여합니다. 또한, 개발된 소재의 생리활성은 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해 항산화능, 항비만 효과, 알코올 대사 촉진, 미백 활성, 신경세포 보호 등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검증합니다. 이를 통해 실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화장품, 의약품 원료 등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산업체와의 협력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식품 생화학 및 생리활성 기전 연구
연구실은 식품 및 천연물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정제 및 구조 분석을 통해 이들의 작용 기전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펩타이드 등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의 항산화, 항고혈압, 항비만, 항균, 신경보호 효과를 분자 수준에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효소 활성 분석, 유전자 발현 분석(RT-PCR 등),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세포 및 동물 모델 실험 등 다양한 생화학적·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합니다. 특히,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 타이로시나제 저해,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저해 등 특정 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 연구를 통해 고혈압, 피부 미백, 신경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 예방 및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소재의 작용 원리를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항산화 활성의 경우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ORAC 등 다양한 항산화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소재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합니다. 이러한 기초 연구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특허 출원 및 산업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연구실은 감귤 발효물, 미더덕 추출물 등 다양한 특허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소재, 의약품 원료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