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tainable Green Design Lab
산업 · 정보시스템공학과 곽민정
지속가능그린디자인 연구실은 숭실대학교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에 소속되어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제품 및 서비스 설계 방법론을 연구합니다. 본 연구실은 그린프로핏디자인, 순환경제, 재제조 최적화, ESG 경영 등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산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설계 및 운영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 중 하나는 제품과 서비스의 전 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입니다. LCA를 기반으로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 단계에서의 환경적 부담을 분석하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설계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데이터 기반의 지속가능성 분석을 통해 온라인 리뷰, 소비자 행동 데이터 등 다양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장 트렌드와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제품 설계와 마케팅 전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순환경제와 재제조 최적화 분야에서는 제품의 수명 연장, 부품 공유, 재자원화 등 자원순환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설계 및 운영 모델을 개발합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첨단 제품의 재제조 가능성 평가, 제품 가족 설계, 재제조 운영계획 최적화 등 실무에 적용 가능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의 경제적 이익과 환경적 책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ESG 경영과 지속가능디자인의 융합도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연구실은 ESG 성과 평가 지표 개발, 친환경 소재(유니소재) 활용, 그린워싱 방지 전략,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연계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지속가능그린디자인 연구실은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 분석과 실무 적용성을 겸비한 연구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에 앞장설 것입니다. 다양한 산학협력, 정부과제, 국제 학술활동을 통해 연구 성과를 확산시키고, 미래 산업의 친환경 전환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Design for Circular Economy
Life Cycle Assessment (LCA)
Data Analytics for Sustainability
그린프로핏디자인(Green Profit Design)과 순환경제를 위한 설계
그린프로핏디자인은 경제적 이익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제품 및 서비스 설계 방법론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제품의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기업의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설계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초기 설계 단계부터 재제조, 재활용, 재사용 등 다양한 자원순환 전략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최적화 모델을 제시합니다.
순환경제는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폐기물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제품의 설계부터 생산, 사용,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자원의 순환을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연구실에서는 재제조 최적화, 제품 가족 설계, 부품 공유 등 다양한 순환경제 실현 방안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수명 연장과 자원 효율성 증진을 도모합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첨단 제품의 재제조 가능성 평가 및 최적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과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습니다. 그린프로핏디자인과 순환경제 설계는 기업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한 설계 방법론 개발에 앞장설 것입니다.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와 데이터 기반 지속가능성 분석
전과정평가(LCA)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생산, 사용, 폐기되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론입니다. 본 연구실은 LCA를 활용하여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의 환경적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전략을 제시합니다. LCA 수행을 위한 소프트웨어(SimaPro 등) 활용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절차, 그리고 실제 사례 연구를 통해 실무 적용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데이터 기반의 지속가능성 분석이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온라인 리뷰 마이닝, 소비자 행동 분석, 데이터 애널리틱스 등 다양한 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소비자 니즈와 시장 트렌드를 파악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 설계 및 마케팅 전략에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제품의 수명 연장과 재순환 용이성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기반 접근법은 지속가능한 디자인뿐만 아니라, 서비스 과학, 구독경제, 공유경제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데이터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성 평가와 개선 방안 도출에 집중하며, 미래 산업의 친환경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ESG 경영과 지속가능디자인의 융합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은 현대 기업이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경영 패러다임입니다. 본 연구실은 ESG 경영의 핵심 요소를 제품 및 서비스 설계, 생산, 운영 전반에 통합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이를 위해 ESG 성과 평가 지표 개발, 기업 사례 분석, 글로벌 트렌드 조사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디자인은 단순히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 제품의 전 생애주기에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설계 전략을 의미합니다. 연구실은 유니소재와 같은 친환경 소재 개발, 그린워싱 방지 전략,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연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이 ESG 경영을 실질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합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ESG와 지속가능디자인의 융합을 통해 미래 지향적이고 책임감 있는 산업 생태계 구축에 앞장설 것입니다.
1
Review lifecycle analytics and importance-obsolescence analysis: A data-driven design approach to product circularity
Won, J., Son, J., Kwak, M.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2025
2
Examining Product Quality and Competitiveness via Online Reviews: An Integrated Approach of Importance Performance Competitor Analysis and Kano Model
Kim, S., Park, S., Kwak, M., Kang, C.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2025
3
Evaluating Remanufacturability of Electric Vehicle Batteries
Seo, J., Kwak, M.
Korean J Life Cycle Assess, 2024
1
공유경제형 제품의 지속가능 디자인 방법론 연구:디자인 애널리틱스를 활용한 설계 최적화 모델 개발
2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제품·서비스 상품의 최적설계를 위한 제품-재제조 통합 최적화 방법론
3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