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 LAB
산업공학과 윤명환
HIS LAB(인간-인터페이스 시스템 연구실)은 인간과 기술의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더 나은 사용자 경험과 혁신적인 제품·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산업공학, 인간공학, 감성공학, 인공지능, 데이터사이언스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인간 중심의 제품 설계와 서비스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사용자 경험(UX) 분석, 인간-기계 상호작용(HCI),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설계, 감성공학 기반 제품 개발, 인간공학적 평가 및 설계, 접근성 향상, 신제품/신서비스 개발 등이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스마트홈, 자동차, 가전제품,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제 사용자의 요구와 행동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인터페이스와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본 연구실은 정량적·정성적 데이터 분석, 실험실 기반 사용자 관찰, 온라인 리뷰 및 소셜 미디어 데이터 마이닝,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 등 첨단 연구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작업 환경 최적화, 장애인 및 고령자 접근성 개선 등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젝트, 정부 및 공공기관 연구, 국제 표준화 활동, 특허 및 논문 발표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통해 연구 성과를 산업 현장과 사회 전반에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OCR, 모션 시뮬레이션, 스마트 체어, 전기차 사운드 디자인, 인간-AI 협업 인터페이스 등 미래 지향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HIS LAB은 앞으로도 인간 중심의 혁신적 기술 개발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학제 간 융합 연구와 실용적 성과 창출에 앞장설 것입니다. 사용자와 기술, 산업과 사회를 잇는 가교로서,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Human Factors Engineering
Usability
Human-Computer Interaction
사용자 경험(UX) 분석 및 인간-기계 상호작용
본 연구실은 인간 중심의 제품 설계와 사용자 경험(UX) 분석을 핵심 연구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 제품과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경험하는 감정, 만족도, 효율성, 편의성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정량적·정성적 분석 방법, 온라인 리뷰 및 소셜 미디어 데이터 마이닝, 실험실 기반의 사용자 관찰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간-기계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분야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와 행동 특성을 반영한 인터페이스 설계, 사용성 평가, 피드백 시스템 개발 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스마트홈 기기, 자동차 HMI 등 다양한 디지털 제품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와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또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첨단 기술 환경에서의 새로운 상호작용 방식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단순한 사용성 개선을 넘어,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과 몰입 경험, 안전성, 접근성까지 포괄적으로 고려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인간과 기술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미래형 인터페이스와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하며, 산업 현장, 의료, 교육, 모빌리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감성공학 및 인간공학 기반 제품·서비스 설계
감성공학(Kansei Engineering)과 인간공학(Ergonomics)은 본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감성공학은 사용자의 감정, 욕구, 심리적 반응을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제품 디자인과 서비스 개발에 반영하는 방법론입니다. 본 연구실은 자동차, 가전제품, 스마트 디바이스 등 다양한 산업 제품에서 사용자의 감성적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제품의 고급감, 만족도, 브랜드 이미지 등과 연결짓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간공학적 접근을 통해서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작업 환경, 근골격계 질환 위험요인, 작업 효율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시트, 운전석, 스마트 체어, 군장 등 다양한 제품에서 인체 치수와 사용 행태를 반영한 최적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평가 지표와 설계 가이드라인을 개발합니다. 또한, 장애인, 노인 등 다양한 사용자 집단의 접근성 및 사용성 향상을 위한 맞춤형 설계와 평가 방법론도 적극적으로 연구합니다.
이러한 감성공학 및 인간공학 연구는 제품의 기능적 품질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 안전, 건강, 접근성까지 아우르는 통합적 가치 창출을 지향합니다. 산업체와의 산학협력, 정부 및 공공기관 프로젝트, 국제 표준화 활동 등을 통해 연구 결과를 실제 사회와 산업에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1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 Quality and Satisfaction on New Ideas for Smart Products
Rhiu, I., Yun, M. H.
Industrial Engineering & Management Systems, 2019
2
Relationships of Exterior Design Sensibility and Customer Sensibility: Focused on the Hood and Door of Passenger Vehicles
Ryu, T., Kim, W., Jin, B., Yun, M. H.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6
3
Mapping Studies on Visual Search, Eye Movement, and Eye Track by Bibliometric Analysis
Rhiu, Y. L., Lim, J. H., Yun, M. H.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5
1
2024 SNU-CMU joint research facility established (Interactive AI)
2
Research on human-in-the-loop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for technology forecasting
3
Developing metrics and models to assess motion sickness in real-world driving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