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숙 연구실
바이오헬스융합학부 이명숙
이명숙 연구실은 바이오헬스융합학부 소속으로, 영양생화학 및 영양생리를 중심으로 한 식품영양학 연구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인체 내 영양소의 대사 경로와 생리적 기능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며, 이를 통해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영양소의 대사 이상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소 섭취 기준과 식단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유전체 및 대사체 분석,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한 정밀영양(Precision Nutrition)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유전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을 반영한 맞춤형 영양관리 전략을 개발하고, DTC(Direct-to-Consumer) 기반의 비만 유전자 분석, AI 기반 식단 추천 시스템 등 실용화 가능한 헬스케어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화 사회, 만성질환 증가, 코로나19 이후의 보건의료 환경 변화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적인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명숙 연구실은 보건복지부, 농촌진흥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다양한 정부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 연구를 통해, 국가적 차원의 건강 정책 수립과 실질적인 사회적 파급효과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영양유전체, 대사체, 임상중재연구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바탕으로, 한국인을 포함한 다양한 인구집단에서의 영양소 요구량 및 대사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성과로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개발, 비만 및 대사질환 관련 유전자-영양 상호작용 규명, 기능성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맞춤형 식단 추천 특허 및 플랫폼 구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 만성질환 예방, 건강한 식생활 문화 조성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명숙 연구실은 영양생화학, 정밀영양, 영양유전체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국민 건강 증진과 맞춤형 건강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할 것입니다.
Nutrigenomics
Adipogenesis
Functional Foods
영양생화학 및 영양생리 연구
영양생화학 및 영양생리는 인체 내에서 영양소가 어떻게 대사되고, 각종 생리적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영양소의 대사 경로와 그 조절 메커니즘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고, 이를 통해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특히,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병 등 만성질환과 관련된 영양소 대사 이상에 주목하여, 이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적용 가능한 영양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유전체 및 대사체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의 유전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이 영양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맞춤형 영양관리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한국인을 포함한 다양한 인구집단에서의 영양소 요구량 및 대사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영양소 섭취 기준의 개발과 활용, 식품군별 균형 잡힌 식단 구성 등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가적 차원의 건강 정책 수립과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보건복지부, 농촌진흥청 등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사회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영양생화학 및 영양생리 연구를 기반으로, 건강한 식생활 문화 조성과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과학적 근거 마련에 앞장설 것입니다.
정밀영양(Precision Nutrition) 및 영양유전체 연구
정밀영양은 개인의 유전적, 생리적, 환경적 특성을 반영하여 최적의 영양관리 전략을 제시하는 첨단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유전체 분석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개인 맞춤형 식단 추천 시스템과 정밀영양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인 대상의 대규모 유전체-영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비만, 대사증후군,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와 식이요인 간의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직접소비자유전체(DTC) 기반의 비만 유전자 분석, AI 기반 식단 추천 플랫폼, 임상중재연구 등 다양한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 및 산업체와 협력하여 정밀영양 헬스케어 시스템의 실용화와 상용화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고령화 사회와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보건의료 환경에서의 새로운 건강관리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정밀영양 연구는 단순한 영양소 섭취 권장량 제시를 넘어, 개인별 질병 위험 예측, 맞춤형 식단 설계, 기능성 식품 개발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정밀영양 및 영양유전체 연구를 통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입니다.
1
Risk Factors Related to Resting Metabolic Rate-Related DNAJC6 Gene Variation in Children with Overweight/Obesity: 3-Year Panel Study
이명숙, Jieun Shin, Inhae Kang
NUTRIENTS, 202412
2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10?18 years) Belonging to Food Insecure Household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2019)
이명숙, 정소원, 신지은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309
3
Gene regulation of RMR-related DNAJC6 on adipogenesis and mitochondria function in 3T3-L1 preadipocytes
이명숙, 손다정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2309
1
DTC 기반 정밀영양 (PNH)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한국인 비만유전체 Heterogeneity 연구
2
빅데이터 기반 건강 식단 추천 시스템 연구(1주관)
3
생애주기별 대사성 비만을 예방하는 Hsp40/C6 유전자의 분자영양학적인 기전연구 -BIG DATA기반 mGWAS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