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이경욱 교수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이경욱

가톨릭대학교 의학과 이경욱 교수 연구실은 정신건강의학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정신질환의 신경생물학적 기전과 임상중재를 심도 있게 연구하는 국내 대표 연구실 중 하나입니다. 본 연구실은 우울증, 조현병, 불안장애, 공황장애 등 주요 정신질환의 뇌 구조 및 기능 변화, 신경전달물질 이상, 신경회로의 특성 등 신경과학적 접근을 통해 질환의 원인과 증상 발현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영상기법(fMRI, PET 등)과 심리생리학적 측정, 분자생물학적 분석 등 첨단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정신질환 환자와 정상 대조군 간의 뇌 기능 차이, 감정 인식 및 조절 능력, 사회인지 장애, 자살 행동의 신경생물학적 특징 등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객관적 바이오마커 개발,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살 고위험군 및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집단을 대상으로 한 임상중재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병원 기반 사례관리, 마음챙김 자기연민(MSC) 프로그램 등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실제 임상현장에 적용 가능한 표준화된 매뉴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자살률 감소와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학술상 수상, 다수의 저서 및 논문 출간, 정부 및 공공기관 연구과제 수행 등 활발한 학술 및 사회적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경과학과 임상중재를 융합한 다학제적 연구를 통해 정신질환의 근본적 이해와 혁신적 치료법 개발, 국민 정신건강 증진에 앞장설 것입니다.

정신질환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연구
본 연구실은 정신질환, 특히 우울증, 조현병, 불안장애 등 다양한 정신질환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뇌영상기법(fMRI, PET 등)과 신경생리학적 측정,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뇌의 구조적·기능적 변화와 신경전달물질, 신경회로의 이상이 정신질환의 발병과 증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신질환의 원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객관적 생물학적 지표(바이오마커)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울증과 자살 행동, 조현병 환자의 사회인지 장애, 공황장애 환자의 감정 인식 및 조절 메커니즘 등 다양한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신경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우울증 환자에서의 전전두엽-변연계 회로의 기능 저하, 조현병 환자의 뇌 연결망 변화, 자살 고위험군의 세로토닌 시스템 이상 등 구체적인 신경생물학적 특징을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신경생물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신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 치료 반응성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궁극적으로는 환자 개개인에 맞춘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첨단 신경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정신질환의 원인 규명과 혁신적 치료법 개발에 앞장설 것입니다.
자살 예방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임상중재 연구
본 연구실은 자살 고위험군 및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집단을 대상으로 한 임상중재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병원 기반 사례관리, 마음챙김 자기연민(MSC) 프로그램 등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실제 임상현장에 적용 가능한 표준화된 매뉴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자살시도자의 임상적 특성, 위험 및 보호요인, 반복 자살시도의 예측인자, 고위험군의 정신사회적 지원체계 구축 등 자살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 만성질환자, 노인 등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심리적 회복탄력성(리질리언스), 감정조절, 대인관계 민감성 등 정신건강 증진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평가합니다. 이러한 임상중재 연구는 자살률 감소,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 사회적 낙인 해소 등 공중보건적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국가적 자살예방 정책 및 정신건강 서비스 모델 개발에도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근거 기반의 임상중재 연구를 통해 국민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 예방에 앞장설 것입니다.
1
Trajectories of self-rated health among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with depressive symptoms: A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장진영, 정현성, 채경희, 이경욱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23
2
Associations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stroke survivors: 2013-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장진영, 정현성, 김석일, 이경욱
QUALITY OF LIFE RESEARCH, 2022
3
High Work-Related Stress and Anxiety as a Response to COVID-19 Among Health Care Workers in South Korea: Cross-sectional Online Survey Study
안명희, 신용욱, 서수연, 김정혜, 김화정, 이경욱, 정석훈
JMIR PUBLIC HEALTH AND SURVEILLANCE, 2021
1
스마일센터 사례관리 매뉴얼 개발 및 표준화 연구
법무부
2021년 09월 ~ 2021년 12월
2
통증 조절에 대한 인지와 정서의 뇌 기전 규명
한국연구재단(NRF)
2017년 03월 ~ 2020년 02월
3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
보건복지부
2013년 08월 ~ 2013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