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유기전자재료 연구실

성균관대학교 소재부품융합공학과

이준엽 교수

Host Materials

Phosphorescent Materials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유기전자재료 연구실

소재부품융합공학과 이준엽

유기전자재료 연구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조명 기술의 핵심인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재 및 소자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TADF(열 활성화 지연 형광)와 인광 소재의 합성,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고효율·장수명 OLED 소자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자 설계 전략과 첨단 유기합성 기술을 활용하여, 청색, 녹색, 적색 등 다양한 파장 영역에서 뛰어난 발광 효율과 내구성을 갖춘 신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의 광물리적 특성 분석, 전기적 특성 평가, 소자 제작 및 성능 검증 등 소재-소자-공정의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삼중항 여기자 관리, 도너-억셉터 구조 최적화, 다중 공명 구조 설계 등 분자공학적 접근을 통해 기존 한계를 극복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고성능 OLED 기술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재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화학적·물리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본 연구실은 초협대 스펙트럼 발광, 고색순도, 플렉시블 및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용 소재, 저전력 구동 및 고내구성 소재 등 다양한 응용 목적에 맞춘 맞춤형 소재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QLED, AR/VR, 차세대 AMO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 소재와 소자 기술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기반의 소재 특성 예측, 소자 내 전하 거동 분석 등 디지털 혁신 기술을 연구에 접목하여 연구 효율성과 정확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실은 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국내외 산학연 협력을 통한 실용화 및 상용화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기전자재료 연구실은 수많은 국내외 특허와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 그리고 다양한 수상 경력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연구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광전자 산업의 혁신을 주도하는 연구실로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Host Materials
Phosphorescent Materials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TADF 및 인광 소재의 합성과 OLED 소자 개발
본 연구실은 TADF(열 활성화 지연 형광) 및 인광 소재의 합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TADF와 인광 소재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조명 기술의 핵심으로, 기존 형광 소재에 비해 훨씬 높은 효율과 긴 수명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분자 설계 전략을 통해 새로운 발광 소재를 합성하고, 이들의 광물리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특히, 청색, 녹색, 적색 등 다양한 파장 영역에서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분자 내 에너지 전달, 삼중항 여기자 관리, 도너-억셉터 구조의 최적화 등 첨단 유기합성 및 분자공학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또한, 소재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화학적·물리적 접근법도 병행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를 실제 OLED 소자에 적용하여, 소자의 외부 양자효율(EQE), 구동 전압, 수명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평가합니다. 연구실은 소재-소자-공정의 전주기적 연구를 통해, 대량생산에 적합한 고효율·장수명 OLED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조명,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유기 전자재료의 분자 설계 및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선도
본 연구실은 유기 전자재료의 분자 설계 및 합성을 통해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도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기 전자재료는 OLED, QLED, AR/VR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핵심 구성 요소로, 소재의 구조적·전자적 특성이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좌우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분자 내 도너-억셉터 상호작용, 다중 공명 구조, 스핀-진동 커플링 등 첨단 분자공학 기법을 활용하여, 고효율·고색순도·장수명 유기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래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초협대 스펙트럼 발광, 순수 색상 구현, 플렉시블 및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용 소재, 저전력 구동 및 고내구성 소재 등 다양한 응용 목적에 맞춘 맞춤형 분자 설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소재의 합성부터 소자 제작, 평가, 신뢰성 분석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 연구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기반의 소재 특성 예측, 소자 내 전하 거동 분석 등 디지털 혁신 기술을 접목하여 연구 효율성과 정확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를 통해, 연구실은 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혁신적 소재와 소자 기술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1
Molecular design strategy for orange-red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emitters via intramolecular energy transfer and their application in solution processa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Chen, XR (Chen, Xinrui) [1], Tan, S (Tan, Shuai) [1], Qin, CC (Qin, Chaochao) [3], Wang, YF (Wang, Yafei) [1], Lee, H (Lee, Ha Lim) [2], Lee, KH (Lee, Kyung Hyung) [2], Qin, K (Qin, Ke) [4] , [5], Ma, HL (Ma, Huili) [4] , [5], Zhu, WG (Zhu, Weiguo
, 2024.01
2
Benzonitirile modified N type host for exciplex host to enhance efficiency and lifetime in blu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Kim, YS (Kim, Yoon Sung) [1], Lim, J (Lim, Junseop) [1], Lee, JY (Lee, Jun Yeob) [1], Lee, Y (Lee, Yoonkyoo) [2], Choo, C (Choo, Changwoong) [2]
, 2024.01
3
Cyclometalated Platinum(II) β-Diketonate Complexes with Extremely High External Quantum Efficiency for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Kang, J (Kang, Jisu) [1], Zaen, R (Zaen, Rena) [1], Park, KM (Park, Ki-Min) [2], Lee, KH (Lee, Kyung Hyung) [3], Lee, JY (Lee, Jun Yeob) [3], Kang, Y (Kang, Youngjin) [1]
, 2024.01
1
[통합EZ]좁은 스펙트럼을 갖는 액정 원편광 청색 지연 형광 발광 재료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통합EZBARO_A002]
2024년 08월 ~ 2025년 07월
2
[통합EZ]엑시톤-폴라리톤 유기 레이징을 위한 스핀-진동 커플링 기반 다중 공명 제어 기술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통합EZBARO_A002]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RCMS]리소그래피(Lithography) 공정에 의한 OLED 화소 형성 기술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