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TADF 및 인광 소재의 합성과 OLED 소자 개발

본 연구실은 TADF(열 활성화 지연 형광) 및 인광 소재의 합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TADF와 인광 소재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조명 기술의 핵심으로, 기존 형광 소재에 비해 훨씬 높은 효율과 긴 수명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분자 설계 전략을 통해 새로운 발광 소재를 합성하고, 이들의 광물리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특히, 청색, 녹색, 적색 등 다양한 파장 영역에서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분자 내 에너지 전달, 삼중항 여기자 관리, 도너-억셉터 구조의 최적화 등 첨단 유기합성 및 분자공학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또한, 소재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화학적·물리적 접근법도 병행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를 실제 OLED 소자에 적용하여, 소자의 외부 양자효율(EQE), 구동 전압, 수명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평가합니다. 연구실은 소재-소자-공정의 전주기적 연구를 통해, 대량생산에 적합한 고효율·장수명 OLED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조명,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2

유기 전자재료의 분자 설계 및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선도

본 연구실은 유기 전자재료의 분자 설계 및 합성을 통해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도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기 전자재료는 OLED, QLED, AR/VR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핵심 구성 요소로, 소재의 구조적·전자적 특성이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좌우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분자 내 도너-억셉터 상호작용, 다중 공명 구조, 스핀-진동 커플링 등 첨단 분자공학 기법을 활용하여, 고효율·고색순도·장수명 유기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래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초협대 스펙트럼 발광, 순수 색상 구현, 플렉시블 및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용 소재, 저전력 구동 및 고내구성 소재 등 다양한 응용 목적에 맞춘 맞춤형 분자 설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소재의 합성부터 소자 제작, 평가, 신뢰성 분석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 연구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기반의 소재 특성 예측, 소자 내 전하 거동 분석 등 디지털 혁신 기술을 접목하여 연구 효율성과 정확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를 통해, 연구실은 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혁신적 소재와 소자 기술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