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경 연구실
환경재료과학과 양재경
양재경 연구실은 환경재료과학과를 기반으로 임산제지학 및 임산화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목재, 버섯, 농업 및 임산 부산물 등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고부가가치의 바이오신소재, 에너지, 기능성 화합물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팀폭쇄, 알칼리 및 효소 전처리, 추출 및 정제 등 다양한 공정기술을 바탕으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등 주요 성분의 분리 및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는 동충하초, Paecilomyces, Podostroma 등 다양한 버섯 및 식물자원을 활용한 생리활성물질의 탐색과 생산 최적화입니다. 항산화, 항염증, 항암, 미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소재를 발굴하고, 배양 및 추출 조건의 최적화를 통해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반응표면분석법, Box-Behnken 디자인 등 통계적 방법론과 더불어, 머신러닝, QSAR 등 인공지능 기반 예측모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연구의 효율성과 혁신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목질계 폐자원, 농업 부산물, 폐지 등 저가의 원료를 활용한 자원순환형 소재 개발, 바이오에탄올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 프리바이오틱스 및 식이섬유 등 건강기능성 소재 개발, 친환경 사료 및 인공토양 개발 등 다양한 융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과 환경보호, 그리고 신소재 개발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특허, 논문, 산학협력, 정부과제 등 다양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바이오산업, 식품, 의약, 에너지, 환경 등 여러 산업 분야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회 및 산업계와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연구의 실용화와 확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임산자원의 고도화 및 융복합 기술 개발을 통해 친환경 바이오신소재 및 에너지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양재경 연구실은 미래 그린바이오산업을 선도할 인재 양성과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친환경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림자원과 바이오매스의 고부가가치화, 기능성 소재의 산업화, 그리고 환경과 건강을 아우르는 융합연구를 통해 국내외 바이오산업의 혁신을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Wood Chemistry
Biomass Energy
Cordyceps Militaris Cultivation
임산제지학 및 임산화학 기반 바이오매스 활용 기술
임산제지학 및 임산화학 분야는 목재 및 임산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바이오매스 기반 소재와 에너지, 기능성 화합물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본 연구실은 목재, 버섯, 농업 및 임산 부산물 등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효율적인 전처리 및 가공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팀폭쇄, 알칼리 및 효소 처리 등 다양한 전처리 공정을 통해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등 주요 성분의 분리 및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매스 기반의 기능성 식이섬유, 프리바이오틱스,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 공정 최적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목재, 농업 부산물, 폐지 등 저가의 원료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자원순환 모델을 제시하고, 산업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석기법(HPLC, GC-MS 등)과 인공지능 기반 예측모델(QSAR, 머신러닝 등)을 접목하여 소재의 기능성 평가 및 공정 최적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과 환경보호, 그리고 신소재 개발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며, 바이오산업, 식품, 의약,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임산자원의 고도화 및 융복합 기술 개발을 통해 친환경 바이오신소재 및 에너지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기능성 버섯 및 식물 유래 생리활성물질 연구
본 연구실은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Paecilomyces tenuipes, Podostroma cornudamae 등 다양한 버섯과 식물자원을 활용한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및 생산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로부터 항산화, 항염증, 항암, 미백, 면역조절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소재를 발굴하고, 배양 조건(배지 조성, pH, 온도, 광원 등) 및 추출 공정의 최적화를 통해 고기능성 물질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디세핀, 로리딘 E,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 주요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배양 및 추출 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RSM), Box-Behnken 디자인 등 통계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LED 광원, 목질 배지, 곤충 기반 배지 등 다양한 혁신적 배양기술을 적용하여 생산 효율을 높이고,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머신러닝, QSAR 등 인공지능 기반 예측모델을 도입하여 항산화 활성 등 생리활성 예측 및 신소재 후보물질 선별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기능성 천연물 소재의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국내외 자생 및 재배 버섯, 식물자원을 활용한 신소재 발굴과 대량생산 기술 개발을 통해 바이오헬스 및 그린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것입니다.
1
Heated wood-based ethylene scavenger for activ packaging to prevent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양재경, 하시영, 김현철, 임우석
BioResources, 202506
2
Modeli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molecular descriptors of unclassified compounds
양재경, 김현철, 하시영
Journal of King Saud University - Science, 202505
3
Enzymatic Hydrolysis-Derived Water-Soluble Carbohydrates from Cacalia firma: Evaluation of Antioxidant Properties
양재경, 하시영, 김현철
FOODS, 202504
1
[통합EZBARO] (위탁)기능성 포장소재 적용성 평가
2
[통합EZBARO] 효소당화율 제고를 위한 스팀폭쇄 전처리의 표준화 기술 개발(1차년도)
3
[시험분석] HPLC를 이용한 지방산 유무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