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임산제지학 및 임산화학 기반 바이오매스 활용 기술

임산제지학 및 임산화학 분야는 목재 및 임산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바이오매스 기반 소재와 에너지, 기능성 화합물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본 연구실은 목재, 버섯, 농업 및 임산 부산물 등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효율적인 전처리 및 가공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팀폭쇄, 알칼리 및 효소 처리 등 다양한 전처리 공정을 통해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등 주요 성분의 분리 및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매스 기반의 기능성 식이섬유, 프리바이오틱스,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 공정 최적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목재, 농업 부산물, 폐지 등 저가의 원료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자원순환 모델을 제시하고, 산업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석기법(HPLC, GC-MS 등)과 인공지능 기반 예측모델(QSAR, 머신러닝 등)을 접목하여 소재의 기능성 평가 및 공정 최적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과 환경보호, 그리고 신소재 개발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며, 바이오산업, 식품, 의약,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임산자원의 고도화 및 융복합 기술 개발을 통해 친환경 바이오신소재 및 에너지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2

기능성 버섯 및 식물 유래 생리활성물질 연구

본 연구실은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Paecilomyces tenuipes, Podostroma cornudamae 등 다양한 버섯과 식물자원을 활용한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및 생산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로부터 항산화, 항염증, 항암, 미백, 면역조절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소재를 발굴하고, 배양 조건(배지 조성, pH, 온도, 광원 등) 및 추출 공정의 최적화를 통해 고기능성 물질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디세핀, 로리딘 E,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 주요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배양 및 추출 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RSM), Box-Behnken 디자인 등 통계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LED 광원, 목질 배지, 곤충 기반 배지 등 다양한 혁신적 배양기술을 적용하여 생산 효율을 높이고,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머신러닝, QSAR 등 인공지능 기반 예측모델을 도입하여 항산화 활성 등 생리활성 예측 및 신소재 후보물질 선별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기능성 천연물 소재의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국내외 자생 및 재배 버섯, 식물자원을 활용한 신소재 발굴과 대량생산 기술 개발을 통해 바이오헬스 및 그린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