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Biological Systems Engineer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민세철 교수

생물시스템공학 연구실은 식품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비열처리 기술과 첨단 포장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저온 플라즈마, 초음파, 펄스전기장 등 다양한 비열처리 공정을 활용하여 식품의 미생물 안전성 확보와 저장성 연장, 품질 유지에 관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기존의 열처리 방식과 달리 식품의 영양성분과 감각적 특성을 보존하면서도, 식중독균 및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산업적 적용성이 매우 높습니다. 연구실은 스마트 포장 및 능동 포장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항균 및 항산화 기능성 필름, 신선도 지시계, 에틸렌 및 이산화탄소 흡착제 등 다양한 첨단 포장재를 개발하여 식품의 신선도와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연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컬러리메트릭 기반 신선도 지시계와 인공지능·딥러닝을 접목한 모바일 소프트웨어를 통해 소비자와 유통업체가 식품의 품질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 3D 프린팅 및 바이오폴리머 가공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맞춤형 식품 제조, 기능성 식품 개발, 고령자 및 환자 맞춤식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위한 3D 프린팅 소재 및 공정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농산물 부산물 및 해조류 등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식용 필름 및 코팅제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식품 포장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시스템의 공학적 적용, 위험분석 및 미생물 모델링, 식품 안전성 평가 등 식품산업 전반의 품질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대규모 공정 시스템 개발, 시뮬레이션 및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 구축 등 실용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특허, 논문, 산업체 협력, 정부 과제 등 다양한 형태로 실용화되고 있으며, 미래 식품산업의 혁신과 지속가능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첨단 식품공학 기술의 개발과 상용화를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식품 공급, 환경 친화적 포장, 맞춤형 식품 생산 등 사회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