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VILAB

중앙대학교 예술공학부

유태경 교수

VILAB

예술공학부 유태경

VILAB(Virtual Interaction Lab)은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허무는 인터랙션 기술을 중심으로 예술과 공학의 융합을 실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실시간 시각화, 시각효과(VFX), XR(확장현실), 디지털 휴먼, 생성형 AI 등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관객에게 몰입감 넘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구성원들은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공연, 전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하며, 예술적 감성과 공학적 전문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특히, VILAB은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의 양방향 인터랙션, 비대칭 XR 멀티유저 경험, 실시간 경험 관리 시스템 등 차세대 인터랙션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휴먼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관객과 가상 존재가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감정적 교류와 개별화된 상호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제작을 지향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의 메타버스, 가상 공연, 디지털 아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생성형 AI와 실시간 3D 시각화 기술을 활용하여, 텍스처 생성, 사운드 디자인, 무드보드 제작 등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버추얼 프로덕션, Cloud XR, Virtual Scouting, Dry for Wet 등 최신 기술을 도입하여, 현실감 넘치는 3D 배경 합성, 카메라 시차 효과, 클라우드 기반 XR 경험 등 다양한 혁신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실제 사례로 단편영화 <Mother Mermaid>, SIGGRAPH Asia Art Gallery 출품작 등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하고 있습니다. VILAB은 예술공학부의 특성을 살려, 예술적 스토리텔링과 첨단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VR 아트워크, 가상 공연, 인터랙티브 미디어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휴먼 스캐너, XR 스튜디오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실제와 가상을 넘나드는 몰입형 콘텐츠를 제작하고, 미래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VILAB은 예술과 공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적 연구를 통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지털 콘텐츠 제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VILAB은 차세대 미디어 환경에서 창작자와 관객 모두에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입니다.

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인터랙션 기술
VILAB 연구실은 가상과 현실을 연결하는 인터랙션 기술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예술과 공학의 융합을 바탕으로,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형태의 상호작용 방식을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몰입감과 새로운 감각을 체험할 수 있으며,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공연, 전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시간 시각화와 시각효과(VFX)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영상 스토리텔링의 한계를 극복하고, 관객이 직접 참여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경험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XR(확장현실) 환경에서의 비대칭적 멀티유저 인터랙션, 실시간 경험 관리 시스템, 가상-물리 공간의 양방향 인터랙션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영화, 게임, VR/AR 콘텐츠 등에서 새로운 몰입형 경험을 제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VILAB은 디지털 휴먼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인터페이스로 활용하여, 관객과 가상 존재가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한 시청각적 경험을 넘어, 감정적 교류와 개별화된 상호작용이 가능한 차세대 콘텐츠 제작을 지향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의 메타버스, 가상 공연, 디지털 아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휴먼 및 생성형 AI 기반 실감형 콘텐츠 제작
VILAB 연구실은 디지털 휴먼과 생성형 AI를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 제작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디지털 휴먼은 영화, 게임,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핵심 인터페이스로 자리 잡고 있으며, 본 연구실은 3D 얼굴 외형 디지타이징, 디지털 트윈 파이프라인 최적화, 실시간 캐릭터 리깅 등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인물과 유사한 외형과 움직임을 가진 디지털 캐릭터를 구현하고, 몰입감 높은 가상 경험을 제공합니다. 생성형 AI는 텍스처 생성, 사운드 디자인, 무드보드 제작 등 다양한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효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Stable Diffusion과 같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기존의 무드보드 제작 방식을 혁신하고, PBR(Physically Based Rendering) 기반의 텍스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등, 제작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높은 퀄리티의 결과물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AI와 인간의 협업을 통해 예술적 가치와 기술적 완성도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예술적 스토리텔링과 실시간 엔진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VR 아트워크, 가상 공연, 인터랙티브 미디어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VILAB의 연구는 미래의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버추얼 프로덕션 및 실시간 3D 시각화
VILAB은 버추얼 프로덕션과 실시간 3D 시각화 기술을 활용하여 차세대 영상 및 미디어 콘텐츠 제작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버추얼 프로덕션은 그린스크린, LED 월, 언리얼 엔진 등 첨단 기술을 결합하여 실제 촬영과 가상 환경을 실시간으로 융합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연출이 가능한 새로운 제작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Gaussian Splatting, 포토그래메트리, 포인트 클라우드 등 3D 공간 캡처 및 재구성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현실감 넘치는 3D 배경 합성, 카메라 시차 효과, 실시간 렌더링 등 고품질 VFX 제작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Cloud XR, Virtual Scouting, Dry for Wet 등 최신 기술을 연구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XR 경험, 가상 로케이션 탐색, 물리적 한계를 극복한 촬영 기법 등 다양한 혁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영화, 드라마, 광고, 공연 등 다양한 미디어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례로 단편영화 <Mother Mermaid>, SIGGRAPH Asia Art Gallery 출품작 등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하고 있습니다. VILAB의 버추얼 프로덕션 연구는 미래 미디어 환경에서 창작자와 관객 모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1
디지털 배경 합성에서 가우시안 스플래팅을 활용한 카메라 시차 표현 방법 연구
최종대, 유태경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2501
2
Real-Time Experience Management for LBXR: A Node-Based XR Operation System
이지수, 유태경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02412
3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화제작 : 시각효과를 중심으로
유태경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101
1
[통합이지바로]4차)근현대 미술품들의 디지털 데이터 확보 및 과학 기반 미술품 신뢰도 분석 지원 시스템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3년 ~ 2023년 12월
2
[통합이지바로]3차)근현대 미술품들의 디지털 데이터 확보 및 과학 기반 미술품 신뢰도 분석 지원 시스템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2년 ~ 2022년 12월
3
[통합이지바로]2차)근현대 미술품들의 디지털 데이터 확보 및 과학 기반 미술품 신뢰도 분석 지원 시스템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년 04월 ~ 2021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