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Google Scholar

경상국립대학교 식품공학과

신의철 교수

Sensory Analysis

Volatile Compounds

Physicochemical Properties

Google Scholar

식품공학과 신의철

신의철 교수 연구실은 식품공학부 소속으로, 식품의 화학적 감각 분석과 기능성 성분 탐색을 중심으로 첨단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자혀, 전자코, GC-MS/GC-Olfactometry 등 첨단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품의 맛과 향, 그리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성분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식품의 품질 특성, 가공 및 저장 조건에 따른 감각적 변화, 품종별 특성, 소비자 기호도와의 연관성 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브로콜리, 월동무, 감귤, 커피, 견과류, 동물 부산물, 해조류, 약용작물 등 다양한 농수산물 및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전자센서 기반의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식품 간의 유사성 및 차별성, 품종별·가공별 특성, 최적 가공조건 등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산업에서의 품질 표준화, 신제품 개발, 소비자 맞춤형 식품 설계 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품 소재의 기능성 성분(항산화 물질, 비타민, 미네랄, 피토케미컬, 생리활성 펩타이드 등) 탐색과 건강 증진 효과 규명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식물성 및 동물성 소재에서 항산화능, 항염증, 항비만, 항당뇨, 신경보호, 면역조절 등 건강기능성을 실험동물, 세포, 인체 대상 연구 및 오믹스 기반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있습니다. 식품 부산물의 고부가가치화, 반려동물용 사료첨가제 개발 등 산업적 응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식품의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식품 안전성 평가, 식품 첨가물 분석, 기능성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식품 가공 및 저장 기술 최적화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특허,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 학술대회 발표, 수상 실적 등을 통해 국내외 식품과학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신의철 교수 연구실은 식품의 감각 품질과 기능성 향상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연구 성과를 창출함으로써, 국민 건강 증진과 식품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첨단 분석기술과 융합적 접근을 바탕으로, 미래 식품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선도할 것입니다.

Sensory Analysis
Volatile Compounds
Physicochemical Properties
식품의 화학적 감각 분석 및 전자센서 기반 연구
본 연구실은 식품의 맛과 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전자혀(E-tongue)와 전자코(E-nose) 등 첨단 전자센서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농산물, 가공식품, 식물성 및 동물성 식품 소재의 맛과 향미 패턴을 분석하여, 식품의 품질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식품의 감각적 특성을 과학적으로 해석하고, 새로운 식품 개발 및 품질 관리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전자센서 기반 분석은 기존의 주관적 관능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객관적이고 재현성 높은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브로콜리, 월동무, 레드비트, 감귤, 커피, 견과류, 동물 부산물 등 다양한 식품에 대해 전자혀와 전자코, GC-MS/GC-Olfactometry를 결합하여 맛 성분과 휘발성 향기 성분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다변량 통계기법(주성분분석, 군집분석 등)을 적용하여 식품 간의 유사성, 차별성, 품종별 특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의 고유한 감각 특성 규명뿐만 아니라, 가공 및 저장 조건, 열처리, 효소처리, 발효 등 다양한 처리에 따른 맛과 향의 변화까지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궁극적으로는 소비자 맞춤형 식품 개발, 기능성 식품 소재 발굴, 식품산업의 품질 표준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식품 소재의 기능성 성분 탐색 및 건강 증진 연구
연구실은 식품 소재의 생리활성 성분 탐색과 이들의 건강 증진 효과 규명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식물성 및 동물성 소재(예: 견과류, 곡류, 식물성 오일, 동물 부산물, 해조류, 약용작물 등)에서 항산화 물질, 비타민, 미네랄, 지방산, 피토케미컬, 생리활성 펩타이드 등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함량 및 조성, 생리활성 효과를 다각적으로 평가합니다. 특히, 항산화 활성, 항염증 효과, 혈압강하, 항비만, 항당뇨, 신경보호, 면역조절 등 다양한 건강기능성을 실험동물, 세포, 인체 대상 연구 및 오믹스 기반 분석(전사체, 대사체 등)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크라 씨 오일, 동백유, 견과류, 곡류, 해조류, 약용식물 등에서 항산화능, 지용성 비타민, 피토스테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GABA 등 유효성분을 규명하였으며, 이들의 기능성은 다양한 질환 예방 및 건강 증진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식품 부산물(예: 동물 내장, 식물 껍질, 씨앗 등)의 고부가가치화, 기능성 소재로의 전환, 반려동물용 사료첨가제 개발 등 산업적 응용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의 영양학적 가치 향상, 기능성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식품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A paper that you need to read
A Author, J Doe, J Smith, S Else
Some Journal …, 2014
2
The testis isoform of the phosphorylase kinase catalytic subunit (PhK-T) plays a critical role in regulation of glycogen mobilization in developing lung
Liu, Li, Rannels, Stephen R., Falconieri, Mary, Phillips, Karen S., Wolpert, Ellen B., Weaver, Timothy 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96.05
3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1970
1
[통합Ezbaro] 향기 성분의 후각 수용체 자극에 대한 생리활성 및 뇌 활성 맵핑 구축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이지식약)(2세부)(2-2차년도)기기분석법을 이용한 점도 및 응고점 분석법의 개선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3년 ~ 2023년 11월
3
[EZBARO] 향기 성분의 후각 수용체 자극에 대한 생리활성 및 뇌 활성 맵핑 구축
한국연구재단
2022년 06월 ~ 2023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