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원 연구실
의과대학 이상원
이상원 연구실은 뇌영상학을 기반으로 한 정신질환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규명, 트라우마 및 정서적 학대 경험의 신경심리학적 영향 분석, 그리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정신건강 바이오마커 개발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구조적 MRI, 확산텐서영상(DTI) 등 첨단 뇌영상 기법을 활용하여 강박장애, 우울증, 불안장애, 조현병 등 다양한 정신질환의 뇌 네트워크 이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질환별로 특징적인 뇌 구조 및 기능 변화를 규명하고, 증상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정서적 학대, 언어적 학대, 트라우마 경험이 뇌 발달과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설문조사, 심리측정, 뇌영상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학대 경험이 회복탄력성, 정서조절, 인지기능 저하, 우울 및 불안 증상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뇌영상 마커를 기반으로 한 치료 프로그램, 마음챙김 기반 온라인 프로그램, 수용전념치료(ACT) 등 다양한 심리치료 기법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검증하며, 맞춤형 중재 솔루션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워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심박변이도, 수면 패턴, 신체 활동량 등 다양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집·분석합니다. 딥러닝 등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군집화, 예측 모델링, 맞춤형 중재 서비스 제공 등 정밀 정신의학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불면증 중재 서비스 특허 및 관련 연구를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디지털 중재 솔루션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상원 연구실의 연구는 정신질환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며, 정신건강 증진과 환자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트라우마 경험자의 심리적 회복과 사회적 적응을 돕는 예방적 관점의 정책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연구실은 뇌영상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신경생물학적 지표를 활용한 정밀의학적 접근,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과 임상 연구의 융합을 통해 미래 정신의학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정신질환 환자와 트라우마 경험자의 건강한 성장과 회복을 지원하는 과학적·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뇌영상학을 통한 정신질환의 신경기전 규명
이상원 연구실은 뇌영상학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신질환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구조적 MRI, 확산텐서영상(DTI) 등 첨단 뇌영상 기술을 적용하여 강박장애, 우울증, 불안장애, 조현병 등 주요 정신질환 환자와 건강 대조군의 뇌 구조 및 기능적 연결성 변화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질환별로 특징적인 뇌 네트워크의 이상을 밝혀내고, 증상과의 연관성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사고-행동 융합(thought-action fusion), 정서적 학대 경험, 인지적 정서조절, 회복탄력성 등 다양한 심리적 요인과 뇌 기능 간의 관계를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아동기 학대 경험이 청소년 및 성인의 뇌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러한 경험이 인지기능 저하, 정서조절 곤란, 우울 및 불안 증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강박장애 환자에서 사고-행동 융합과 관련된 뇌 네트워크의 변화, 그리고 수용전념치료(ACT)와 같은 심리치료가 뇌 기능에 미치는 효과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신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뇌영상 기반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신경생물학적 지표를 활용한 정밀의학적 접근을 실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정신건강 증진과 환자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정서적 학대 및 트라우마 경험의 신경심리학적 영향과 중재
연구실은 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정서적 학대, 언어적 학대, 트라우마 경험이 뇌 발달과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설문조사, 심리측정 도구, 그리고 뇌영상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학대 경험이 회복탄력성, 정서조절 능력, 우울 및 불안 증상, 인지기능 저하 등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규명합니다. 특히, 학대 경험이 해마, 전전두엽, 변연계 등 특정 뇌 영역의 구조적·기능적 변화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과학적으로 밝혀내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연구실은 정서적 학대 경험을 가진 개인을 위한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뇌영상 마커를 기반으로 한 치료 프로그램, 마음챙김 기반 온라인 프로그램, 수용전념치료(ACT) 등 다양한 심리치료 기법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검증하고, 그 신경생물학적 변화를 추적합니다. 웨어러블 기기와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중재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용적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트라우마 경험자의 심리적 회복과 사회적 적응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예방적 관점에서 정신건강 증진 정책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학대 및 트라우마로 인한 장기적 뇌·심리적 손상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성장과 회복을 지원하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웨어러블 및 디지털 기술 기반 정신건강 바이오마커 개발
이상원 연구실은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워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하여 정신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심박변이도(HRV), 수면 패턴, 신체 활동량 등 다양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장기간 수집·분석함으로써, 우울, 불안, 불면증 등 정신질환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딥러닝 등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 기반 사용자 군집화, 예측 모델링, 맞춤형 중재 서비스 제공 등 정밀 정신의학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불면증 중재 서비스 특허 및 관련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생체·수면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개인별로 최적화된 수면 및 생활습관 개선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스마트워치 기반 심박변이도 측정과 자기보고식 우울·불안 증상 평가를 연계한 종단 연구를 수행하여, 실시간 정신건강 모니터링 및 조기 개입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주관적 설문 중심 평가를 넘어, 객관적이고 연속적인 정신건강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합니다. 디지털 바이오마커의 임상적 유효성 검증과 실제 의료 현장 적용을 통해, 미래 정신의학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1
Association between heart rate variability metrics from a smartwatch and self-reported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a four-week longitudinal study
이상원
FRONTIERS IN PSYCHIATRY, 202405
2
Aberrant function of the salience network related to maltreatment experiences during thought-action fusion
이상원
BRAIN IMAGING AND BEHAVIOR, 202401
3
Neural mechanisms of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 resting-state and task-based fMRI study
이상원
PSYCHOLOGICAL MEDICINE, 202401
1
임상데이터 측정(MRI, fMRI) 및 데이터 분석, 구축
2
학대 경험 관련 인지기능 저하의 회복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3
뇌영상 마커를 근거로 한 정서적 학대 경험 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