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윤현호 연구실

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컬소프트웨어학과

윤현호 교수

윤현호 연구실

바이오메디컬소프트웨어학과 윤현호

윤현호 연구실은 의생명과학과를 기반으로 종양면역, 암 미세환경, 암 대사 및 정밀의료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목표는 암세포와 면역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면역치료제와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특히, 대장암, 난소암, 유방암, 뇌종양 등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종양 미세환경 내 면역세포, 섬유아세포, 대사 경로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암 백신, mRNA 기반 치료제, RNA 어쥬번트 등 차세대 면역치료 플랫폼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신항원 기반 백신, HPV 관련 암을 표적으로 한 mRNA 백신, IRES 기반 RNA 어쥬번트 등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기존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의 실현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모델과 임상 전 단계에서 우수한 치료 효과를 입증하고 있으며, 향후 임상 적용 가능성도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암 미세환경 내 섬유아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대사 재프로그래밍, 에피제네틱 조절 등 암의 근본적인 병태생리를 규명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3D 바이오프린팅, 오가노이드, 차세대 유전체 분석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암의 복잡성을 정밀하게 재현하고,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의 전이, 치료 저항성, 재발 등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제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특허 출원 및 국제 학회 발표를 통해 연구 성과를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난소암, 위장관 기질종양, 유방암 등에서 새로운 바이오마커와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또한, 암 환자의 삶의 질 개선과 생존율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치료 전략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윤현호 연구실은 종양면역 및 암 미세환경 연구의 선도자로서, 암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첨단 생명과학 기술과 임상적 통찰을 결합하여, 암 정복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입니다.

종양면역 및 암 백신 개발
윤현호 연구실은 종양면역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종양면역은 암세포와 면역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대장암, 난소암, 뇌종양 등 다양한 암종에서 종양 미세환경(TME)과 면역세포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세포가 면역 회피를 어떻게 달성하는지, 그리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고 제거하는 과정에서 어떤 분자적 기전이 작동하는지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실에서는 암 백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대장암에서의 시그니처 유전자 변이로부터 유래한 신항원(neoantigen)을 표적으로 하는 백신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신항원은 암세포 특이적으로 생성되는 단백질로, 면역계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활용한 암 백신은 기존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법입니다. 또한, HPV 관련 암에 대한 mRNA 백신, IRES 기반 RNA 어쥬번트 등 다양한 면역치료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동물모델 및 임상 전 단계에서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인간 대상 임상시험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높습니다. 연구실은 종양면역의 최신 이론과 기술을 접목하여, 암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 면역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암 미세환경 및 대사 조절 연구
암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은 암세포의 성장, 전이, 치료 저항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윤현호 연구실은 TME 내 다양한 세포군(암세포, 면역세포, 섬유아세포 등)과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 관련 섬유아세포(CAFs)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그리고 이들이 암의 성장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위장관 기질종양(GIST)에서 CAF가 분비하는 PDGFC가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기전을 규명하였으며, TGF-β1 신호전달이 CAF의 활성화와 암세포 이동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도 밝혔습니다. 또한, 암세포의 대사 재프로그래밍과 면역 반응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난소암, 췌장암, 유방암 등에서 지방산 대사, 포도당 대사, 아미노산 대사 등 다양한 대사 경로가 암세포와 면역세포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사 관련 유전자(MRGs)와 면역반응의 상호작용을 규명함으로써, 기존 치료제에 대한 저항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항암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뇌종양 모델링, 오가노이드와 유전체 분석을 결합한 정밀의료 연구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암 미세환경의 복잡성을 재현하고,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의 근본적인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환자별 맞춤 치료의 실현을 앞당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Signature Gene Mutations in Colorectal Cancer: Potential Neoantigens for Cancer Vaccines
윤재구, 문하은, 전서영, 최수현, 윤현호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505
2
Advanced Therapeutic Approaches for Metastatic Ovarian Cancer
최수현, 전민영, 윤현호
CANCERS, 202503
3
Comprehensive insight into 3D bioprinting technology for brain tumor modeling
김아영, 모규민, 최수현, 신미영, 윤현호
INTERNATIONAL JOURNAL OF BIOPRINTING, 202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