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Seoul National University Fungal Plant Pathology Lab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이용환 교수

Systems Biology

Gene Expression Analysis

Genomic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Fungal Plant Pathology Lab

농업생명과학대학 이용환

서울대학교 곰팡이식물병리학 연구실은 식물병원성 곰팡이와 숙주 식물 간의 상호작용을 분자, 유전체, 생태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벼 도열병균(Magnaporthe oryzae)과 벼(Oryza sativa) 간의 병원성 기작을 모델로 삼아, 곰팡이 병원체가 식물의 내재적 방어 시스템을 어떻게 극복하고 감염을 성공시키는지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곰팡이의 감염 구조인 압포(appressorium) 형성과정, 신호전달경로, 병원성 유전자 및 이펙터 단백질의 기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식물병 발생의 근본 원리를 밝히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기능유전체학, 시스템생물학, 생물정보학 등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하여 곰팡이 병원성 유전자 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돌연변이주 라이브러리 구축, DNA 마이크로어레이, RNA-Seq, 비교유전체학, ATMT(Agrobacterium tumefaciens 매개 형질전환) 등 다양한 오믹스 및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통해 병원성 관련 유전자와 경로를 발굴하고, 이들의 기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물의 방어기작과 곰팡이 병원성 유전자 간의 상호작용을 시스템생물학적으로 통합 분석하여, 식물-병원균 상호작용의 복잡한 네트워크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식물 뿌리, 종자, 토양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생물군집(마이크로바이옴)의 생태와 기능을 연구하여, 작물의 생육, 병 저항성, 수량 등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메타지놈, 메타트랜스크립톰 분석을 통해 미생물군집의 조성, 다양성, 기능적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환경적 요인과의 상관관계, 미생물 간 상호작용 네트워크, 핵심 미생물의 기능적 역할 등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물병 발생의 근본 원리 규명, 내병성 작물 개발, 친환경적 병해 관리 전략 수립, 생물학적 방제,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 등 실질적인 농업 문제 해결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식물병원성 곰팡이와 숙주 식물, 그리고 미생물군집 간의 상호작용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농업 생산성과 환경 친화적 농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 연구, 대형 국가 연구과제 수행, 국제 학술대회 발표 등 활발한 학술 활동을 통해 식물병리학 및 곰팡이학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연구인력 양성에도 힘쓰며, 미래 농업과 생명과학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Systems Biology
Gene Expression Analysis
Genomic Research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분자적 병원성 기작 규명
우리 연구실은 식물병원성 곰팡이가 식물에 질병을 일으키는 분자적 기작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벼 도열병균(Magnaporthe oryzae)과 벼(Oryza sativa) 간의 상호작용을 모델 시스템으로 삼아, 곰팡이 병원체가 식물의 내재적 방어기작을 어떻게 극복하고 감염을 성공시키는지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감염 구조인 압포(appressorium) 형성과정에서 작동하는 신호전달경로(signal transduction pathway)와 유전적 요소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곰팡이의 병원성에 관여하는 핵 이펙터(nuclear effector) 단백질이 식물 세포핵으로 이동하여 식물의 면역 유전자 발현을 재프로그래밍하는 과정을 규명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곰팡이 이펙터의 핵 이동 신호(NLS)와 숙주 단백질과의 상호작용, SUMOylation과 같은 후성적 변형이 병원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까지 분자적 수준에서 밝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곰팡이 병원체가 식물의 면역 시스템을 어떻게 조절하고 회피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분자적 병원성 연구는 곰팡이-식물 상호작용의 근본 원리를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궁극적으로는 내병성 작물 개발, 친환경적 병해 관리 전략 수립 등 농업적 응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식물병원성 곰팡이와 숙주 식물 간의 상호작용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식물 질병의 예방과 제어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기능유전체학 및 시스템생물학 기반 식물-병원균 상호작용 연구
본 연구실은 벼 도열병균을 비롯한 다양한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유전체 해독과 기능유전체학적 접근을 통해 병원성 유전자와 그 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변이주 라이브러리(mutant library) 구축, DNA 마이크로어레이, RNA-Seq, 비교유전체학(comparative genomics) 등 첨단 오믹스 기술을 활용하여 병원성 관련 유전자, 이펙터, 신호전달 경로, 전사인자 등 핵심 요소들을 발굴하고 그 기능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Agrobacterium tumefaciens 매개 형질전환(ATMT) 기술을 이용해 대규모 돌연변이주를 제작하고, 이들 변이주를 활용한 유전자 기능 분석을 통해 병원성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와 경로를 지속적으로 밝혀내고 있습니다. 또한, 식물의 방어기작(숙주저항성, 비숙주저항성)과 곰팡이의 병원성 유전자 간의 상호작용을 시스템생물학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방대한 오믹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기반의 웹 시스템도 구축·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물-병원균 상호작용의 복잡한 네트워크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병원성 조절의 핵심 허브를 규명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식물병 방제 전략 개발, 내병성 작물 육종, 농업 생산성 향상 등 실질적인 농업 문제 해결에도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및 미생물군집의 생태·기능 연구
우리 연구실은 식물 뿌리, 종자, 토양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생물군집(마이크로바이옴)의 생태와 기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벼, 감자 등 주요 작물의 뿌리권(rhizosphere)과 종자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및 곰팡이 군집의 조성, 다양성, 기능적 역할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과 메타지놈, 메타트랜스크립톰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미생물군집의 조성이 작물의 생육, 병 저항성, 수량 등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환경적 요인(토양, 기후, 재배법 등)이 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식물과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 네트워크,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kingdom-level network), 핵심 미생물(taxa)의 기능적 역할 등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는 작물 건강 증진, 생물학적 방제,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 등 미래 농업의 혁신적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작물과 환경에서의 미생물군집 연구를 확대하여, 작물 생산성과 환경 친화적 농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1
Solo or in Concert: SUMOylation in Pathogenic Fungi
, 1970
2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of MoHTR1, a Magnaporthe oryzae effector, for transcriptional reprogramming of immunity genes in rice
, 1970
3
A winged-helix DNA-binding protein is essential for self-fertility during sexual development of the homothallic fungus Fusarium graminearum
, 1970
1
식물면역연구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협력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 2023년 12월
3
벼도열병균의 이펙터 유전체 동정 및 특성 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 03월 ~ 2023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