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진호 연구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진호 교수

박진호 연구실

의과대학 박진호

박진호 연구실은 국어국문학과를 기반으로 한국어의 통사론, 언어유형론, 의미론 등 언어학 전반에 걸친 심층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한국어의 문법 구조와 의미 체계를 세계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며, 이를 통해 한국어만의 독특한 언어적 특성과 변화 양상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말뭉치와 계량적 분석,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실증적 연구 방법론을 적극 도입하여, 전통적인 인문학 연구와 현대 데이터 과학의 융합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한국어의 문법 현상, 어휘 등급화, 문체 분석, 번역 연구, 사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텍스트마이닝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한국어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AI 언어모델 개발, 형태소 분석기 및 의미 분석 도구의 개발, 고문헌의 디지털 분석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어 정보화와 언어 교육, 사전 편찬 등 실용적 응용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아시아 언어와의 비교 연구, 언어유형론적 접근, 베이지안 통계 등 다양한 학제간 융합 연구를 통해 한국어학의 국제적 위상 제고와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학술대회, 협력 프로젝트, 강연 등을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인문학과 인공지능의 상호작용, 언어 다양성, 소통의 문제 등 현대 사회의 핵심 이슈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박진호 연구실은 앞으로도 한국어 연구의 이론적 심화와 실용적 확장, 그리고 인문학과 데이터 과학의 융합을 선도하는 연구실로서, 학문적 혁신과 사회적 기여를 동시에 추구할 것입니다.

통사론과 언어유형론을 통한 한국어 연구
본 연구실은 통사론과 언어유형론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구조와 특성을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통사론은 문장 내에서 단어와 구가 어떻게 결합하여 의미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법 현상의 규칙성과 예외성을 분석합니다. 언어유형론은 세계 여러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어만의 독특한 문법적 속성을 밝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한국어의 다양한 문법 현상, 예를 들어 시제, 상, 양태, 보조사, 조사, 복합 서술어, 대명사 체계 등 여러 문법 요소를 유형론적 관점에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대규모 말뭉치와 계량적 방법론, 그리고 디지털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어가 세계 언어 속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그리고 언어 변화와 진화의 과정에서 어떠한 경향성을 보이는지 체계적으로 규명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어의 내재적 구조를 밝히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어 교육, 사전 편찬, 번역, 인공지능 언어모델 개발 등 다양한 실용적 분야에도 기여합니다. 특히 한국어와 중국어, 일본어 등 동아시아 언어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언어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
디지털 인문학과 자연어처리 기반 한국어 연구
연구실은 디지털 인문학과 자연어처리(NLP) 기술을 접목하여 한국어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습니다. 대규모 말뭉치 구축, 텍스트마이닝, 기계학습, 딥러닝 등 첨단 데이터 과학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어의 어휘, 문법, 의미, 문체 등 다양한 언어 현상을 계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인문학적 연구 방법론을 보완하고, 데이터 기반의 실증적 연구를 실현합니다. 특히, 인공지능 언어모델의 개발과 효율화, 한국어에 특화된 형태소 분석기 및 의미 분석 도구의 개발, 문학작품 및 고문헌의 디지털 분석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어 정보화, 국어사 자료의 전산화, 언어 교육용 어휘 등급화, 사전학 등 실용적 응용 분야와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인문학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통해 인간 언어의 본질과 변화, 그리고 AI 시대의 언어 다양성 및 소통의 문제를 다각도로 조명합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학술대회와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 인문학의 발전과 한국어 연구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1
문장 벡터를 이용한 동형어 구분
박진호
한국(조선)어교육연구, 2020
2
의미의 일반화와 특수화(??的泛化?特殊化)
박진호
중국조선어문, 2020
3
Millet vs rice: an evaluation of the farming/language dispersal hypothesis in the Korean context
박진호, 김장석
Evolutionary Human Sciences, 2020
1
논증적 글쓰기 능력 평가 연구
국립국어원
2024년 02월 ~ 2024년 11월
2
중국 및 러시아 내 소수민족 언어 유형 DB 구축
교육부
2019년 09월 ~ 2020년 08월
3
어휘의미 분석 말뭉치 구축
국립국어원
2019년 07월 ~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