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관진 연구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관진 교수

박관진 연구실

의과대학 박관진

박관진 연구실은 소아비뇨기과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소아 및 청소년 비뇨기계 질환의 진단, 치료, 예후 예측에 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신경인성 방광, 야뇨증, 과민성 방광, 요로 감염, 수신증, 요관폐색, 잠복고환 등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비뇨기 질환의 임상적 특성과 병태생리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경인성 방광 및 척수이형성 환아의 조기 진단과 장기적 신기능 보존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비디오요역동학검사, 초음파 탄성도 검사, 바이오마커 분석 등 첨단 진단기법을 도입하여, 방광 기능 변화와 예후 예측 인자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적 치료와 약물치료, 간헐적 도뇨법 등 다양한 치료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평가하여, 최적의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환의 역학적 특성, 치료 반응, 장기 예후를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아비뇨기과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신기능 보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환아와 가족이 겪는 심리적·사회적 어려움, 학교 및 일상생활에서의 장벽 해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다기관 연구, 정부 및 학술 과제 수행, 활발한 학회 및 학술지 발표를 통해, 소아비뇨기과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임상 현장 적용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소아비뇨기과 진료의 표준화와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박관진 연구실은 앞으로도 소아비뇨기과 질환의 조기 진단, 맞춤형 치료, 장기 예후 개선을 위한 혁신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소아비뇨기과학의 임상적 연구와 치료 전략
소아비뇨기과학은 소아 및 청소년의 비뇨기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로, 본 연구실은 다양한 소아비뇨기 질환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특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경인성 방광, 야뇨증, 과민성 방광, 요로 감염, 수신증, 요관폐색, 잠복고환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임상적 연구와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환의 역학적 특성, 진단 기준, 치료 반응 및 예후 인자 등을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비뇨기계 질환의 조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연구, 영상의학적 평가법의 표준화, 그리고 수술적 및 비수술적 치료법의 효과와 안전성 평가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요로 감염 및 신장 손상 예측을 위한 소변 바이오마커의 임상적 유용성, 수신증 환아의 장기적 신기능 변화, 야뇨증 및 과민성 방광 환아의 치료 반응 예측 인자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약물치료(항콜린제, 옥시부티닌 등)와 비약물치료(행동치료, 전기자극치료 등)의 효과를 비교·평가하여, 최적의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아비뇨기과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장기적인 신기능 보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국내외 학회 및 학술지에 활발히 연구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소아비뇨기과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임상 현장 적용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신경인성 방광 및 척수이형성 환아의 진단과 관리
신경인성 방광은 척수이형성, 척수이분증, 테더드 코드 증후군 등 신경계 이상으로 인해 방광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소아 환자에서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본 연구실은 신경인성 방광 환아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비디오요역동학검사, 초음파 탄성도 검사, 요로 영상 및 다양한 신경생리학적 평가법을 활용하여, 신경인성 방광의 병태생리와 임상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척수이형성 환아의 수술 전후 방광 기능 변화, 요로 감염 및 신기능 저하의 위험 인자, 그리고 장기적 신장 합병증 예방을 위한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적 치료(untethering surgery)와 약물치료(항콜린제, 톨테로딘 등), 간헐적 도뇨법의 효과와 환자 및 보호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환아와 가족이 겪는 도뇨 관련 심리적·사회적 어려움, 학교 및 일상생활에서의 장벽 해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인성 방광 환아의 신기능 보존, 요로 감염 예방,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다기관 연구 및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해, 신경인성 방광 관리의 표준화와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Caudal Agenesis: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athoembryogenesis of the Spinal Cord
박관진, Kim Kyung Hyun, 김승기, Lee Seunghyun, 이지연, Wang Kyu-Chang, Shim Youngbo
NEUROSURGERY, 2024
2
Serum Acylcarnitine and Long-Term Functional Prognosi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with Intracranial Injury: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박관진, Lee, Stephen Gyung Won, Ro, Young Sun, Jung, Eujene, Moon, Sung Bae, Yoon, Hanna, Park, Jeong Ho, 신상도
JOURNAL OF NEUROTRAUMA, 2023
3
Can portable ultrasound bladder scanner be applied to young children less than three years old?
박관진, 임영재, Do, M. T., Kim, L.
JOURNAL OF PEDIATRIC UROLOGY, 2022
1
배뇨발달과 관련된 뇌중추의 모색과 정상 배뇨기능획득에 있어 방광-뇌 상호작용의 역할
교육부
2020년 03월 ~ 2020년 05월
2
2015년도 이종욱 펠로우십 교수과정(이종욱-서울프로젝트):라오스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2015년 03월 ~ 2016년 07월
3
칼슘민감성 방광근육수축의 발달과정: 소아과민성방광의 병태생리와의 연관성
교육부
2014년 05월 ~ 2015년 0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