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소아비뇨기과학의 임상적 연구와 치료 전략
소아비뇨기과학은 소아 및 청소년의 비뇨기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로, 본 연구실은 다양한 소아비뇨기 질환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특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경인성 방광, 야뇨증, 과민성 방광, 요로 감염, 수신증, 요관폐색, 잠복고환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임상적 연구와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환의 역학적 특성, 진단 기준, 치료 반응 및 예후 인자 등을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비뇨기계 질환의 조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연구, 영상의학적 평가법의 표준화, 그리고 수술적 및 비수술적 치료법의 효과와 안전성 평가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요로 감염 및 신장 손상 예측을 위한 소변 바이오마커의 임상적 유용성, 수신증 환아의 장기적 신기능 변화, 야뇨증 및 과민성 방광 환아의 치료 반응 예측 인자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약물치료(항콜린제, 옥시부티닌 등)와 비약물치료(행동치료, 전기자극치료 등)의 효과를 비교·평가하여, 최적의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아비뇨기과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장기적인 신기능 보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국내외 학회 및 학술지에 활발히 연구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소아비뇨기과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임상 현장 적용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신경인성 방광 및 척수이형성 환아의 진단과 관리
신경인성 방광은 척수이형성, 척수이분증, 테더드 코드 증후군 등 신경계 이상으로 인해 방광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소아 환자에서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본 연구실은 신경인성 방광 환아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비디오요역동학검사, 초음파 탄성도 검사, 요로 영상 및 다양한 신경생리학적 평가법을 활용하여, 신경인성 방광의 병태생리와 임상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척수이형성 환아의 수술 전후 방광 기능 변화, 요로 감염 및 신기능 저하의 위험 인자, 그리고 장기적 신장 합병증 예방을 위한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적 치료(untethering surgery)와 약물치료(항콜린제, 톨테로딘 등), 간헐적 도뇨법의 효과와 환자 및 보호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환아와 가족이 겪는 도뇨 관련 심리적·사회적 어려움, 학교 및 일상생활에서의 장벽 해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인성 방광 환아의 신기능 보존, 요로 감염 예방,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다기관 연구 및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해, 신경인성 방광 관리의 표준화와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