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Soft Computing & Interaction Laboratory

광주과학기술원 융합기술학제학부

홍진혁 교수

Augmented Reality

Multimodal Music Systems

Digital Therapeutics

Soft Computing & Interaction Laboratory

융합기술학제학부 홍진혁

Soft Computing & Interaction Laboratory는 인공지능(AI)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을 융합한 첨단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적 소통 약자를 위한 접근성 기술, 다감각 인터페이스, 그리고 사용자 맞춤형 상호작용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청각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의 문화 콘텐츠 향유와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머신러닝, 딥러닝, 강화학습 등 최신 AI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 행동, 감정, 몰입도, 심리 상태 등을 정밀하게 인식하고 분석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 영상, 박물관 전시, 게임,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맞춤형 서비스와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어 음악 저작 시스템, 햅틱 기반 자막 시스템, AI 기반 박물관 해설, 시선 추적 기반 인증 및 몰입도 측정 등 다양한 접근성 기술이 실제로 구현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지능형 에이전트와 컨텍스트 인식 컴퓨팅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상황과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형 에이전트, 챗봇, QA 시스템, 스마트 디바이스, 홈 로봇 등 다양한 응용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생활 환경에서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 사용자 연구, 실증 실험을 통해 기술의 실효성과 사용성을 검증하며, 산업 현장과 사회적 문제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학회 및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다양한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하며, 정부 및 산업체와의 산학협력 과제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문적 성과뿐만 아니라 산업적·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Soft Computing & Interaction Laboratory는 앞으로도 인간 중심의 AI와 HCI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의 혁신을 이끌어갈 것입니다.

Augmented Reality
Multimodal Music Systems
Digital Therapeutics
AI와 HCI 기반의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 융합 연구
본 연구실은 인공지능(AI)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을 융합하여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 CT)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청각장애인 등 사회적 소통 약자를 위한 접근성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음악, 영상, 박물관 전시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향유와 참여를 증진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LLM 기반의 컨텍스트 인식 비음성-시각화 기술, 다감각 음악 실감 시스템, 그리고 AI 기반 동화 콘텐츠 저작 플랫폼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단순히 기술적 혁신에 그치지 않고, 실제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한 인터페이스 설계와 상호작용 방식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어 음악 저작 시스템, 햅틱 기반 자막 시스템, AI 기반 박물관 전시 해설 등은 모두 사용자 맞춤형 접근성과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입니다. 또한, 대화형 에이전트와 지식 그래프, 챗봇 등 최신 AI 기술을 활용하여 문화 콘텐츠의 탐색과 학습 경험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사회적 포용성과 문화적 다양성 증진에 기여하며, 미래의 문화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학회 및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다양한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함으로써 학문적·산업적 성과를 동시에 창출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 인간 중심 인터랙션 및 접근성 기술
연구실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인간 중심 인터랙션과 접근성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머신러닝, 딥러닝, 강화학습 등 다양한 AI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감정, 몰입도, 심리 상태 등을 정밀하게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시각·청각 장애인을 위한 다감각 인터페이스, 시각화 자막, 진동 및 햅틱 피드백, 시선 추적 기반 인증 및 몰입도 측정 등 다양한 접근성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생활 환경에서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 사용자 연구, 실증 실험을 통해 기술의 실효성과 사용성을 검증합니다. 최근에는 대규모 AI 모델을 활용한 홈 서비스 로봇, 가정용 휴머노이드, 디지털 치료제, 게임 난이도 조절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또한, AI 기반 진단 보조 시스템, 감성 인식 음악 추천, 행동 인식 등 의료·헬스케어, 엔터테인먼트,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와의 융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간 중심의 AI 인터랙션 연구는 기술의 사회적 가치와 실질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산학협력 및 정부 과제를 수행하며, 실제 산업 현장과 사회적 문제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지능형 에이전트 및 컨텍스트 인식 컴퓨팅
본 연구실은 지능형 에이전트(Intelligent Agents)와 컨텍스트 인식 컴퓨팅(Context-aware Computing)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상황, 환경, 행동, 감정 등 다양한 컨텍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예를 들어, 대화형 에이전트, 챗봇, QA 시스템, 스마트 디바이스, 홈 로봇 등에서 사용자와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베이지안 네트워크, SVM, 딥러닝 등 다양한 AI 모델과 센서 데이터 융합, 사용자 행동 분석, 실시간 피드백 기술 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합니다. 실제로, 박물관, 교육, 의료,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도메인에서 컨텍스트 인식 기반의 맞춤형 정보 제공, 추천, 인증,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데이터셋 구축, 크라우드소싱 기반 제스처 데이터 수집, 시선 추적 및 생체 신호 분석 등 첨단 데이터 처리 기술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능형 에이전트 및 컨텍스트 인식 컴퓨팅 연구는 미래의 스마트 환경과 인간 중심 서비스의 핵심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특허, 논문, 프로젝트를 통해 해당 분야의 학문적·산업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1
Enhancing Video Experiences for DHH Individuals through Sound-Inspired Motion Caption-based Spatiotemporal Tacton
Sooyeon Ahn, Gyungmin Jin, Gunhyuk Park, Jin-Hyuk Hong
IEEE TRANSACTIONS ON HAPTICS, 2025.04
2
BIASsist: Empowering News Readers via Bias Identification, Explanation, and Neutralization
CHI'25, 2025.02
3
Understanding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Prompt-based Music Generative AI
CHI'25, 2025.02
1
2022-2025, 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게임 기반의 디지털 치료제 기술 개발
2022년 ~ 2025년
2
2021-TBD(최대 5년), 인간중심 물리 시스템 설계를 위한 HCI + AI
2021년 ~ 1970년
3
[Sub1-주관]가정용 휴머노이드 고도화를 위한 Generative AI(Foundation model) 기반 인간-로봇 협업 플랫폼 개발 및 서비스 실증/사업화(1/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4년 08월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