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길영우 연구실

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길영우 교수

Natural Disasters

Carbonate Rocks

Geochemistry

길영우 연구실

에너지자원공학과 길영우

길영우 연구실은 에너지자원공학과를 기반으로, 지구 내부의 맨틀과 지각의 진화, 그리고 다양한 지질유산의 과학적 가치 평가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는 맨틀 포획암의 암석학적, 지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한 상부 맨틀의 진화 과정 규명입니다. 이를 위해 제주도, 백두산, 베트남, 일본, 미국 등 국내외 다양한 지역에서 산출된 맨틀 포획암을 대상으로 첨단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미량원소 및 동위원소 조성, 광물학적 특성, 변형 미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한탄강, 무등산, 제주도 등 국내 주요 화산지대와 지질명소의 정밀지질조사 및 층서 연구를 통해 화산활동의 시기, 메커니즘, 지형 진화 과정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해당 지역의 세계지질공원 인증, 지질관광 활성화, 야외학습장 개발 등 실질적인 사회적 응용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질유산의 과학적, 교육적, 문화적, 생태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미량원소 및 동위원소 분석법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LA-ICP-MS, MC-ICP-MS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구리, 아연, 몰리브덴, 리튬 등 다양한 금속 및 비금속 동위원소의 정밀 분석법을 구축하고, 이를 환경과학, 자원탐사, 지구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은 국내외 연구자들과의 협력 및 국제 학술 교류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연구실은 지질유산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활용, 지역경제 활성화, 대중의 지질과학 인식 제고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지질해설사 교육, 지질관광 프로그램, 야외학습장 개발 등 다양한 사회적 실천 활동을 통해 과학과 사회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탄강, 무등산, 제주도 등 주요 지질공원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국내외 지질공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국제적 지질유산 인증 추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길영우 연구실은 맨틀 및 지각의 진화, 지질유산의 과학적 가치 평가, 첨단 분석기술 개발, 그리고 사회적 실천까지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통해 국내외 지구과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Natural Disasters
Carbonate Rocks
Geochemistry
상부 맨틀 및 맨틀 포획암의 암석학적·지화학적 연구
길영우 연구실은 상부 맨틀의 구조와 진화, 그리고 맨틀 포획암의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제주도, 백두산, 베트남, 일본, 미국 등 다양한 지역에서 산출된 맨틀 포획암(스피넬 페리도타이트, 하즈버자이트, 레졸라이트 등)을 대상으로, 암석의 조직, 구성광물, 미량원소 및 동위원소 조성을 분석하여 맨틀의 부분용융, 교대작용(메타소마티즘), 변형 미구조 등 다양한 지질학적 과정을 규명합니다. 특히, 맨틀 내에서의 부분용융 정도, 희토류원소(REE) 및 불호정성 원소의 분포, 그리고 동위원소(리튬, 구리, 아연, 몰리브덴 등) 분석을 통해 맨틀의 진화와 지구 내부 물질 순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LA-ICP-MS, MC-ICP-MS 등 첨단 분석 장비를 활용하여 미량원소 및 동위원소의 정밀 분석법을 개발하고, 이를 다양한 지질학적 시료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대륙 및 해양 지각의 형성, 판구조론적 진화, 화산활동의 원인 규명 등 지구과학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다양한 지역의 맨틀 포획암 연구를 통해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각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지질유산 및 화산지대의 지질학적 가치와 응용
연구실은 한탄강, 제주도, 백두산 등 국내외 주요 화산지대와 지질명소의 지질학적 가치 평가와 지질유산 보존,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탄강 주상절리, 용암대지, 화산암류 등 다양한 지질명소에 대한 정밀지질조사와 층서, 암석학, 지화학적 분석을 통해 해당 지역의 화산활동사와 지형 진화 과정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지질공원 인증, 지질관광, 야외학습장 개발 등 실질적인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무등산 국가지질공원, 제주도 동굴 및 분화구 등은 연구실의 주요 연구 대상지로, 각 지역의 지질유산이 지닌 과학적, 교육적, 문화적, 생태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 과정에서 지질명소의 형성과정, 암석 및 광물의 특성, 지질구조, 화산활동의 시기와 메커니즘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한 지질해설사 교육, 지질관광 프로그램 개발 등 사회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질유산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활용, 지역경제 활성화, 대중의 지질과학 인식 제고에 기여하며, 국내외 지질공원 네트워크와의 협력 및 국제적 지질유산 인증 추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Fertile upper mantle peridotite xenoliths indicate no wholesale destruction of cratonic root in East Asia
권상훈, 박채원, Vinod Samuel, M. Santosh, 길영우, 이기욱, 장이랑
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 2023
2
Evidence of frictional melting in fault rock drill cuttings from the enhanced geothermal system site in Pohang, South Korea
길영우, 정세진, 정해명, 강지훈
TECTONOPHYSICS, 2023
3
Evolution of Deformation Fabrics Related to Petrogenesis of Upper Mantle Xenoliths Beneath the Baekdusan Volcano
길영우
MINERALS, 2020
1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지질명소 개발 학술용역
연천군
2025년 02월 ~ 2025년 07월
2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호남권 CCUS 혁신인재양성 프로그램
사단법인 K-CCUS 추진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한탄강 주상절리길 활성화를 위한 지질 기초조사 및 해설사 교육 용역
연천군
2023년 11월 ~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