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길영우 교수
길영우 연구실은 에너지자원공학과를 기반으로, 지구 내부의 맨틀과 지각의 진화, 그리고 다양한 지질유산의 과학적 가치 평가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는 맨틀 포획암의 암석학적, 지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한 상부 맨틀의 진화 과정 규명입니다. 이를 위해 제주도, 백두산, 베트남, 일본, 미국 등 국내외 다양한 지역에서 산출된 맨틀 포획암을 대상으로 첨단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미량원소 및 동위원소 조성, 광물학적 특성, 변형 미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한탄강, 무등산, 제주도 등 국내 주요 화산지대와 지질명소의 정밀지질조사 및 층서 연구를 통해 화산활동의 시기, 메커니즘, 지형 진화 과정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해당 지역의 세계지질공원 인증, 지질관광 활성화, 야외학습장 개발 등 실질적인 사회적 응용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질유산의 과학적, 교육적, 문화적, 생태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미량원소 및 동위원소 분석법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LA-ICP-MS, MC-ICP-MS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구리, 아연, 몰리브덴, 리튬 등 다양한 금속 및 비금속 동위원소의 정밀 분석법을 구축하고, 이를 환경과학, 자원탐사, 지구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은 국내외 연구자들과의 협력 및 국제 학술 교류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연구실은 지질유산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활용, 지역경제 활성화, 대중의 지질과학 인식 제고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지질해설사 교육, 지질관광 프로그램, 야외학습장 개발 등 다양한 사회적 실천 활동을 통해 과학과 사회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탄강, 무등산, 제주도 등 주요 지질공원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국내외 지질공원 네트워크 구축 및 국제적 지질유산 인증 추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길영우 연구실은 맨틀 및 지각의 진화, 지질유산의 과학적 가치 평가, 첨단 분석기술 개발, 그리고 사회적 실천까지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통해 국내외 지구과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