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 이종호 교수
Lab. of Cancer Metabolism 연구실은 암세포의 대사 변화와 종양 미세환경 내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분자세포생물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암세포가 어떻게 대사 경로를 재프로그래밍하여 생존과 증식을 극대화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종양의 성장, 전이, 치료 저항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종양 미세환경 내 다양한 면역세포와 암세포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암세포의 대사 산물이 면역세포의 기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암세포의 대사 변화가 면역회피를 유도하는 분자적 기전, 예를 들어 PD-L1/PD-1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 면역관문 분자의 발현 증가 등은 면역항암제의 효과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암 대사와 면역회피의 연결고리를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린 및 글리신 등 아미노산 대사 경로의 활성화가 종양 성장과 치료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AMPK-HIF-1α 신호전달, m6A 메틸화 효소(RBM15) 등 다양한 분자적 조절 인자가 세린 생합성 경로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그리고 이 경로가 교모세포종, 유방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암세포의 지질 대사, 산화환원 균형, 신호전달 네트워크 등 다양한 대사 경로와 암의 성장 및 전이와의 연관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최신 오믹스 분석, 동물 모델, 유전자 조작 등 첨단 연구기법을 활용하여, 암 대사의 새로운 취약점을 찾아내고 이를 치료 전략으로 연결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Lab. of Cancer Metabolism 연구실은 암 대사와 종양 미세환경, 면역회피, 아미노산 대사 등 다양한 연구 주제를 융합적으로 다루며, 암의 근본적 이해와 혁신적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암 대사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실로서, 국내외 학술적 성과와 사회적 기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