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이은우 연구실

동의대학교 바이오의약공학과

이은우 교수

이은우 연구실

바이오의약공학과 이은우

이은우 연구실은 분자유전학을 기반으로 수산생물의 미생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연구, 수산식품 안전성, 미생물 위해성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넙치, 뱀장어 등 주요 양식 어종의 장내 미생물 군집 분석, 성장 단계별 미생물 변화, 병원성 세균 감염에 따른 미생물 조성 변화 등 어류 건강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숙주 유래 저온성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종균 개발 및 양어용 생균제로서의 기능 연구는 어류 양식 산업의 질병, 스트레스, 항생제 사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바실러스 및 유산균 균주를 분리·특성화하고, 이들의 성장 촉진, 면역 증진, 장내 미생물 균형 조절 효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의 시너지 효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생물학적 제어 기능 등도 심층적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수산식품의 안전성 확보와 미생물 위해성 평가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국내외 유통 수산물에서의 병원성 세균 오염도 조사, 위해성 평가, 항균 활성 평가 등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식품 위생 및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천연 식물 추출물, 한약재, 해조류 등 다양한 천연 소재를 활용한 항균제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실용화 연구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수산물 유해물질 잔류조사, 위생지표세균 분석, 유통·공판장 위생관리 방안 제시 등 현장 적용이 가능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여, 정부 및 산업체와의 협력 과제, 정책 자문, 기술 이전 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식생활의 안전과 수산식품 산업의 신뢰도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특허 출원,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산학협력 과제 등 다양한 성과를 통해 수산식품 안전성, 양식 어류의 건강 증진, 친환경 양식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분자유전학적 도구와 최신 미생물 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수산생물의 건강관리와 지속가능한 수산업 발전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앞장설 것입니다.

분자유전학을 기반으로 한 수산생물의 미생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연구
이은우 연구실은 분자유전학적 접근을 통해 수산생물의 건강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미생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넙치, 뱀장어 등 주요 양식 어종의 장내 미생물 군집 분석과 성장 단계별 미생물 변화, 병원성 세균 감염에 따른 장내 미생물 조성 변화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류의 성장, 면역력, 소화 효소 활성, 질병 저항성 등 다양한 생리적 특성과 미생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숙주 유래 저온성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종균(multi-HAPs) 개발 및 양어용 생균제로서의 기능 연구는 어류 양식 산업의 질병, 스트레스, 항생제 사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바실러스(Bacillus) 및 유산균(Lactobacillus) 균주를 분리·특성화하고, 이들의 성장 촉진, 면역 증진, 장내 미생물 균형 조절 효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의 시너지 효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생물학적 제어 기능 등도 심층적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 출원,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산학협력 과제 등으로 이어지며, 수산식품 안전성, 양식 어류의 건강 증진, 친환경 양식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분자유전학적 도구와 최신 미생물 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수산생물의 건강관리와 지속가능한 수산업 발전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수산식품 안전성 및 미생물 위해성 평가
이은우 연구실은 수산식품의 안전성 확보와 미생물 위해성 평가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유통 수산물(훈제 연어, 넙치 등)에서의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비브리오균 등 병원성 세균의 오염도 조사와 위해성 평가를 통해, 식품 위생 및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의 모니터링, 정량적 미생물 위해성 평가(QMRA), 항균 활성 평가 등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수산식품의 유통·가공·소비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 위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천연 식물 추출물, 한약재, 해조류 등 다양한 천연 소재를 활용한 항균제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기존의 화학적 보존료나 항생제에 대한 대체재로서, 식품의 안전성과 소비자 건강을 동시에 고려한 친환경적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실제로, 천연 항균물질을 이용한 항균모래, 미스트, 식품첨가제 등 실용화 연구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수산물 유해물질 잔류조사, 위생지표세균 분석, 유통·공판장 위생관리 방안 제시 등 현장 적용이 가능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여, 정부 및 산업체와의 협력 과제, 정책 자문, 기술 이전 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식생활의 안전과 수산식품 산업의 신뢰도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Effects of Commercial Probiotics on the Growth, Hematology, Immunity, and Resistance to Aeromonas hydrophila Challenge in Climbing Perch, Anabas testudineus
Md Abu Kawsar, 장원제, Fardin Shahriar, Azaz Ibnasina, Nasib Uddin, Jannat Munny, Md Ashraf Hussain, 이종민, 이은우, Md Tawheed Hasan
AQUACULTURE RESEARCH, 202411
2
Assessing the impact of climate on mackerel (Scomber japonicus) quality during vehicle transportation: A transportation modeling approach
이은우, 장원제, 박슬기, 엄성환, 김경태, 박기재, 이수정, 이영선, 김은송, 손성범
FOOD FRONTIERS, 202409
3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host-associated low-temperature potential probiotics improves the growth, immunity, digestive enzyme activity, and intestinal microbial population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장원제, Md Tawheed Hasan, 허상우, 이승한, 정성목, 김강웅, 이종민, 이은우, 이수정, 이영선, 노다인
AQUACULTURE REPORTS, 202406
1
저어분 사료원료의 이용성 평가(수익)
해양수산부
2024년 04월 ~ 2024년 11월
2
[EZbaro] 숙주 유래 저온성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종균(multi-HAPs) 개발 및 양어용 생균제로서의 기능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RCMS] 신선유통 표준화 기술개발(1차년도)
해양수산부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