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석 연구실
의과대학 구본석
구본석 연구실은 갑상선암 및 두경부암을 중심으로 한 암 진단, 치료, 예후 예측, 치료저항성 극복 등 다양한 의생명과학 분야의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임상과 기초연구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갑상선암 분야에서는 국내외 진료 가이드라인 제정에 적극 참여하며, 환자군별 최적의 수술 범위, 능동 감시(active surveillance)와 같은 최신 치료 전략, 수술 후 합병증 관리, 예후 인자 분석 등 임상적 의사결정 지원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체 및 전사체 분석을 통한 분자진단, 바이오마커 발굴, 신호전달 경로 규명 등 기초연구도 병행하여, 진단의 정확성과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두경부암 연구에서는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 저항성 극복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기전 규명과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세린-글라이신 대사 경로, SHMT2, LAMB3, PAK 등 암의 악성화와 치료 저항성에 관여하는 분자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며,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모델을 활용한 맞춤형 치료 반응 예측 플랫폼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혁신적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학제적 융합연구와 첨단 오믹스 기술,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환자 유래 모델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도입하여, 암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학회 및 연구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하고, 연구 결과를 신속하게 임상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환자 삶의 질 향상, 불필요한 치료의 최소화, 치료 성공률 제고 등 실질적인 의료 혁신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구본석 연구실은 암 정밀의료의 미래를 선도하는 연구와 교육, 임상적용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
Head and Neck Cancer
Voice Analysis
Pediatric Otolaryngology
갑상선암의 진단 및 치료 전략
본 연구실은 갑상선암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갑상선암 환자의 증가와 더불어, 정확한 진단과 맞춤형 치료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갑상선암의 병기, 예후 인자, 수술 범위 결정, 수술 후 합병증 관리 등 환자 맞춤형 진료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갑상선암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유전체 및 전사체 분석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갑상선암의 진행, 재발, 전이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 및 신호전달 경로를 밝혀내고, 새로운 바이오마커 및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위험군 및 중간위험군 환자에서의 능동 감시(active surveillance)와 수술적 치료의 적정성, 수술 후 추적 프로토콜 등 임상적 의사결정 지원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갑상선암 진료 가이드라인 제정에 적극 반영되고 있으며, 환자 삶의 질 향상과 불필요한 치료의 최소화, 예후 예측의 정확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최신 분자진단기술과 임상연구를 융합하여, 갑상선암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을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두경부암의 분자생물학 및 치료저항성 극복 연구
두경부암은 다양한 조직학적 아형과 복잡한 병태생리를 가진 암종으로, 치료 저항성과 재발률이 높아 임상적으로 큰 도전 과제입니다. 본 연구실은 두경부암의 발생과 진행, 치료 저항성의 분자적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유전체, 전사체, 단일세포 분석 등 첨단 오믹스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암세포의 이질성, 암 줄기세포 특성, 종양 미세환경과 면역반응의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에 대한 저항성 기전 규명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표적 발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세린-글라이신 대사 경로, SHMT2, PAK, LAMB3 등 두경부암의 악성화와 치료 저항성에 관여하는 주요 분자들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PROTAC, 저온 플라즈마 활성화 배지 등 혁신적 치료법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모델을 활용하여 실제 환자 맞춤형 치료 반응 예측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두경부암 환자의 예후 개선과 재발률 감소, 치료 부작용 최소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다학제적 융합연구와 임상적용을 통해, 난치성 두경부암 극복을 위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1
Sulforaphane suppresses bladder cancer metastasis via blocking actin nucleation-mediated pseudopodia formation
구본석, 강예은, 장재원
CANCER LETTERS, 202410
2
Transcriptom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umor size and SUVmax in papillary thyroid cancer patients
이성은, 강예은, 최나래, 이신애, 허준영, 구본석
SCIENTIFIC REPORTS, 202405
3
Neutrophil diversity is associated with T-cell immunity and clinical relevance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구본석, 이성은, 선푸름, 이신애, 최나래, 윤지연, 강다현, 강예은
CELL DEATH DISCOVERY, 202405
1
항암/방사선 치료 저항성 두경부암에서 세린-글라이신 대사 경로 타겟 치료 전략 연구
2
Centennial-care Ubiquitous Hospital(CNUH) 플랫폼
3
저-중간 위험군 갑상선암 환자의 갑상선엽절제술 후 적정 추적 프로토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