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AI 인사이트

RnDcircle AI가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정보

※ 사용자 모드를 변경하여 맞춤형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연구 분야

기술 도입 효과 및 상용화 단계

경제적/시장 적용 및 기대 효과

1
고정밀 위치 추정 및 환경 인식 기반 자율주행 기술
  • 본 연구실의 위치 추정 및 주행 가능 영역 분석 기술은 물류 창고, 공장, 건설 현장 등 복잡한 실제 환경에서 이동 로봇의 안정적인 운용을 보장합니다.
  • 현재 기술은 품질 관리 검사, 자재 운송, 시설물 점검(가스 파이프라인, 송전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즉시 적용 가능한 높은 기술 성숙도를 보입니다.

로봇 도입을 통해 생산 라인의 오류를 줄여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여 지속 가능한 공장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운영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2
다중 로봇 협업을 위한 최적 경로 계획 및 충돌 회피 기술
  • 다중 로봇 경로 계획 기술은 물류 센터의 처리량을 극대화하고, 스마트 팩토리 내에서 여러 로봇의 협업 효율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이 기술은 이미 물류 및 자재 운반 분야에서 상용화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향후 제약, 건설 등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분야로 확대 적용될 잠재력이 큽니다.

이동로봇 기술 시장은 2027년까지 750억 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며, 특히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과 생산성 증대를 위한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기술 도입 시, 시장 경쟁력 확보와 높은 투자수익률(ROI)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자율이동로봇 SLAM 및 정밀 위치추정 (Autonomous Mobile Robot SLAM & Accurate Localization)

본 연구 분야는 2D/3D LiDAR, GNSS, IMU 등 다양한 센서 융합 기술을 활용하여 자율 이동 로봇의 실시간 SLAM(동시위치지도작성)과 정밀 위치추정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특히 실제 환경(공항, 백화점, 도심 등)에서 다양한 장애물과 혼잡도로에 대응하여 지도를 생성하고 자율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최근 인천국제공항 자율주행 로봇 시험과 백화점 푸드코트 음식 배달 로봇 실험을 통해 실환경 적용성을 검증하였습니다. 센서 기반 지도작성 기술, 군중 환경 내 장애물 회피 경로 계획, 고정밀 실외및 실내 위치추정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 로봇 응용이 가능하며, 학·산 연계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SLAM

LiDAR

GNSS/IMU 융합

실내외 자율주행

경로 추정 알고리즘

2

동적 환경에서 다중 로봇 경로 계획 및 충돌 회피 (Multi‑Robot Path Planning & Collision Avoidance in Dynamic Environments)

ISR 연구실은 여러 로봇이 협업하는 동적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경로 계획 및 충돌 회피를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다양한 논문과 프로젝트에서 동적 장애물에 대응하는 경로 생성 기법 및 궤적 계획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군중 밀집 공간에서의 경유 지점 생성 기술과 다중 로봇 간의 트래젝토리 동기화 및 충돌 방지 전략을 제시하였습니다. 다중 로봇이 공유 자원을 활용하며 동시에 이동하는 복잡한 시나리오에서, VRP(mTSP) 기반 경로 최적화와 리얼타임 충돌 회피를 통합적으로 구현하며, 이는 물류·서비스 로봇 등 실제 환경 응용에 적합한 기술입니다.

다중 로봇

경로 계획

VRP/mTSP

충돌 회피

군중 환경 대응

3

비홀노믹 로봇 조작성 및 외골격/차량형 이동체 제어 (Underactuated Manipulators & Nonholonomic Mobile Systems Control)

본 연구 주제는 비홀노믹(nonholonomic) 제약 조건을 가진 이동 로봇이나 매니퓰레이터의 역학적 모델링 및 제어법을 연구하며, 외골격 시스템, 차량형 모바일 플랫폼, 두 바퀴 로봇 등에 적용됩니다. 정우진 교수님은 “Design and Control of Underactuated Manipulators using Nonholonomic Constraints” 논문 등의 연구를 기반으로, 효율적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여 비구동 로봇 시스템의 활동성을 극대화합니다. Kinodynamic RRT, DT‑RRT 기반 경로 계획, 오도메트리 오차 보정, 동적 장애물 회피 궤적 생성 등 다양한 실제적 제어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 포함되며, 자동 주차나 인간-로봇 상호작용 시뮬레이션에도 응용됩니다.

비홀노믹 로봇

Kinodynamic RRT

이동 로봇 제어

오도메트리 보정

자동 주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