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나노트로닉스 연구실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김상식 교수

누설전류

소비전력

tunneling field-effect transistor

스위칭전자소자

무기물 반도체

프로젝트

AI 인사이트

RnDcircle AI가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정보

※ 사용자 모드를 변경하여 맞춤형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연구 분야

기술 도입 효과 및 상용화 단계

경제적/시장 적용 및 기대 효과

1
차세대 AI 반도체 및 메모리 솔루션
  • 1T-DRAM/1T-SRAM 기반 PIM(Processing-In-Memory) 소자: 메모리 내에서 직접 연산이 가능한 AI 반도체 기술로, 데이터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초저전력, 고속 연산 환경을 제공합니다. 현재 소자 공정 및 구조 최적화 단계에 있습니다.
  • 로직-메모리 융합 소자: 논리 연산과 데이터 저장을 동시에 수행하는 Universal Logic-Memory 셀 어레이 기술을 개발하여, 회로 집적도를 획기적으로 높이고 시스템 소비 전력을 절감합니다.
  • 저전력 스위칭 소자(TFET, FBFET): 기존 MOSFET의 누설전류 문제를 해결하는 신개념 트랜지스터 기술로, 모바일 및 IoT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AI 가속기, 데이터센터, 온디바이스 AI 시장에서 핵심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IM 기술 상용화 시, 국내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하고 글로벌 AI 칩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저전력 소자 기술은 급성장하는 IoT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서 기술 표준을 주도할 잠재력을 가집니다.

2
에너지 융합 및 플렉서블 신소재 응용
  • 태양전지-열전 융합 소자: 태양광 발전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다시 전기로 변환하는 융합 기술로, 에너지 변환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인터페이스 물질 개발 및 소자 구조 최적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 플렉서블 나노소재 기반 센서 및 발열체: 나노선, 나노입자를 플라스틱 기판에 적용하여 유연한 형태의 광센서, 저항메모리, 면상 발열체 등을 개발합니다.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텍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합니다.

신재생 에너지 효율 증대를 통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에너지 하베스팅 시장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플렉서블 소자 기술은 차세대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스마트카 내장형 센서 등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의 핵심 부품으로 활용될 전망입니다.

진행 중인 프로젝트

1

완료된 프로젝트

174

151

2단계BK21-(국고)4차년,정보기술사업단

2009년 03월 - 2010년 02월

152

(세부)『2단계 3차년도』나노 신소자 계측분석모델 연구

2008년 09월 - 2009년 08월

153

ITO 콜로이드 용액을 습식 도전막 제조 기술 개발

2008년 08월 - 2009년 07월

154

인쇄 기법을 이용한 IC회로설계/인쇄기술 개발[중기거점]

2008년 07월 - 2009년 06월

155

연구진실성 확보를 위한 관련 가이드라인 수립

2007년 06월 - 2007년 11월

156

[2차년도-위탁]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한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2007년 04월 - 2008년 03월

157

나노튜브 환경 센서 모듈 및 나노 환경 센서 어레이 개발

2007년 03월 - 2008년 02월

158

대학IT전공역량강화(NEXT)사업(2차년도)

2007년 01월 - 2007년 12월

159

전자 제어 반도체 나노튜브 소재에 대한 연구(2차년도) (세부주관/위탁:전북대)

2006년 06월 - 2007년 05월

160

이종차원 하이브리드 나노재료를 이용한 메모리/광 나노소자 개발

2006년 04월 - 2007년 0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