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Food Safety & Quality Laboratory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강태선 교수

Functional Materials Screening

Genome Editing in Microorganisms

Genetic Methods for Food Authentication

Food Safety & Quality Laboratory

식품공학과 강태선

Food Safety & Quality Laboratory(식품안전 및 품질 연구실)는 식품의 진위 판별, 안전성 확보, 그리고 기능성 소재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DNA 바코드, qPCR, multiplex qPCR, ultrafast qPCR 등 첨단 분자생물학적 분석법을 기반으로 식품 원료의 종 판별, 유전자 변형 식품의 식별, 그리고 표시사항의 적합성 검증 등 식품 위생 및 안전성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복어, 새우, 두족류, 게, 홍어, 젤라틴 등 다양한 해양 및 육상 식품 원료에 대한 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와 바이오마커를 개발하여, 국내 유통 식품의 70% 이상에서 표시사항과 실제 원재료가 불일치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기관의 규제 및 관리 업무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소비자 신뢰 확보와 식품 산업의 투명성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복어 등 해양생물의 유전체 및 전사체 분석을 통한 식용 가능 종의 분류, 유전적 다양성 연구, 주요 유전자의 발현 조절 및 기능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중유전체 분석, 집단유전학, 오믹스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복어류의 종 판별 마커 개발, 유전체 편집 식품의 식별, 해양생물의 기능성 소재 발굴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 발표, 특허 출원, 학회 수상 등으로 이어지며, 해양생물 유전체 연구 분야에서 국내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천연 소재 및 미생물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기능성 소금, 기능성 식초, 유산균 동치미 밀키트,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 융복합 제품 등 다양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 연구를 통해 건강 증진과 맞춤형 식품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편집 기술과 대사공학을 접목한 유용 미생물 균주 개발 역시 식품 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헬스, 의약품, 화장품 산업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Food Safety & Quality Laboratory는 식품의 안전성과 품질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며, 미래 식품 산업의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식품 진위 판별, 유전체 분석, 기능성 소재 및 미생물 개발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할 것입니다.

Functional Materials Screening
Genome Editing in Microorganisms
Genetic Methods for Food Authentication
식품 진위 판별 및 유전자 분석 기술 개발
본 연구실은 식품의 진위 판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첨단 유전자 분석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DNA 바코드, qPCR, multiplex qPCR, ultrafast qPCR 등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식품 원료의 정확한 종 판별과 유전자 변형 식품의 식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국내외 유통 식품의 원재료 모니터링, 표시사항의 적합성 검증, 그리고 식품 위생 및 안전성 확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새우, 복어, 두족류, 게, 홍어, 젤라틴 등 다양한 식품 원료에 대한 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와 바이오마커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법을 특허화하였습니다. 실제로 국내 유통 식품의 70% 이상에서 표시사항과 실제 원재료가 불일치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본 연구실의 기술은 식품 위생 관리와 소비자 신뢰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 산업뿐만 아니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기관의 규제 및 관리 업무에도 활용되고 있으며, 국제 학술지와 특허 출원을 통해 그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식품 진위 판별 및 유전자 분석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식품 유통 환경 조성에 앞장설 것입니다.
복어 및 해양생물의 유전체 및 기능 연구
복어를 비롯한 해양생물의 유전체 및 전사체 분석을 통해 식용 가능 종의 분류, 유전적 다양성, 주요 유전자의 발현 조절 및 기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참복속 근연종(참복, 흰점참복, 자주복) 간의 유전적 차이와 표현형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다중유전체 분석 프로젝트를 수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식용 불가 종의 판별, 식품 안전성 확보, 그리고 해양생물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집단유전학, 유전체 및 전사체 분석, 유전자 발현 조절 등 다양한 오믹스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복어류의 종 판별 마커 개발, 유전체 편집 식품의 식별, 그리고 해양생물의 기능성 소재 발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실제로 복어 제품의 70% 이상에서 표시사항과 실제 원재료가 불일치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본 연구실의 연구성과는 식품 위생 및 안전성 확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 발표, 특허 출원, 학회 수상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해양생물 유전체 연구 분야에서 국내를 선도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복어 및 해양생물의 유전체 연구를 통해 식품 안전성, 자원 관리, 그리고 기능성 소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기능성 식품 소재 및 미생물 개발
본 연구실은 천연 소재 및 미생물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 체중 감소 및 갱년기 증상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초, 유산균 스타터를 활용한 동치미 밀키트,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을 위한 융복합 제품 등 다양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 증진과 맞춤형 식품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체 편집 기술과 대사공학을 접목하여 유산균 및 효모 등 유용 미생물 균주의 개량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맞춤형 지방산 생산 효모 개발, 고기능성 유산균 개발 등은 식품 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헬스, 의약품, 화장품 산업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러한 미생물 및 기능성 소재 개발에 대한 특허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능성 식품 소재 및 미생물 개발 연구는 소비자의 건강 증진, 식품 산업의 부가가치 창출, 그리고 미래 식품 시장의 트렌드에 부합하는 핵심 분야로, 본 연구실은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1
Microbi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Watery Kimchi (Dongchimi) Fortified with Probiotics
Ji Young Lee, Yeong Hyeon Jo, Tae Hee Kim, Su Eun Lee, Eun Seo Hong, Tae Sun Kang
Journal of Food Protection (IF: 2.1), 2025
2
Genetic variations suggests that Takifugu rubripes, T. chinensis, and T. pseudommus are the same species with a shared gene pool
Ji Young Lee, Kun Hee Kim, Hyuk Je Lee, Sun-Goo Hwang, Tae Sun Kang
Frontiers in Marine Science (IF: 2.8, JCR rank: 14/119 MARINE & FRESHWATER BIOLOGY CATEGORY), 2025
3
Development of Advanced PCR-Based Methods for Accurat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of Commercial Shrimp Products
Kim, K. H., Kang, T. S.
Food Control (IF: 6.0), 2024
1
다중유전체 분석 기반 참복속 근연종의 표현형 차이 규명(최종종료)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다중유전체 분석 기반 참복속 근연종의 표현형 차이 규명(2/3)
한국연구재단
2023년 03월 ~ 2024년 02월
3
다중유전체 분석 기반 참복속 근연종의 표현형 차이 규명(1/3)
한국연구재단
2022년 06월 ~ 2023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