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준 연구실
식품생명공학과 최승준
최승준 연구실은 식품공학 분야에서 식품화학, 나노기술, 에멀젼 및 계면화학을 중심으로 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기능성 식품 소재의 개발과 전달 효율 극대화를 위한 나노입자 및 나노에멀젼 시스템의 설계와 응용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 향상, 천연고분자 복합체 기반 지방 대체제 개발, 효소나노디스크 신소재를 이용한 환경오염 저감 기술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유화제와 분산안정제의 분자구조 특성이 식품 내 난용성 물질의 나노화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미세유체기술, 고압균질화, 열처리 등 첨단 공정기술을 활용하며, 식품 단백질, 펙틴, 레시틴 등 생체적합성 소재를 기반으로 한 나노입자 및 에멀젼의 제조와 특성 평가를 수행합니다. 또한, 머신러닝과 구조분석을 접목하여 효소의 입체특이성 예측, 리포좀 생산 최적화 등 혁신적인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식품 에멀젼의 물리적·화학적 안정성 향상, 오스왈드 리프닝 억제, 지질 산패 및 산화 방지, 항산화제의 극성 및 계면 특성 제어 등 계면화학적 연구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모델 에멀젼 시스템을 구축하여 유화제의 분자구조, 수상 및 유상 조성, 점도 조절, 항산화제의 극성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에멀젼의 안정성 및 산화 특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맞춤형 식이, 의약식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기능성 성분의 체내 흡수율 향상, 표적 전달, 저장성 및 품질 개선 등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품소재의 고부가가치화, 환경친화적 소재 개발, 식품 안전성 향상 등 사회적 파급효과도 매우 큽니다.
앞으로도 최승준 연구실은 식품공학의 혁신을 선도하며, 나노기술과 계면화학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식품 소재 및 기능성 전달 시스템 개발에 지속적으로 매진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식품산업의 미래를 이끌고, 국민 건강 증진과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Lipid Oxidation
Nanoemulsions
Emulsifiers
식품 나노기술 및 나노입자 기반 전달 시스템 개발
본 연구실은 식품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기능성 성분의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는 다양한 나노입자 및 나노에멀젼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나노입자 제조 기술, 리포좀 및 마이크로/나노에멀젼의 구조적 특성 제어, 그리고 다양한 천연고분자 복합체를 기반으로 한 지방 대체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 내 난용성 물질의 용해도 개선과 안정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미세유체기술, 고압균질화, 열처리 등 다양한 공정 기술을 적용하여 나노입자 및 에멀젼의 크기, 표면 특성, 안정성 등을 정밀하게 조절합니다. 또한, 식품 단백질, 펙틴, 레시틴 등 다양한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하여 기능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 특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효소나노디스크, 복합 리포좀 등 혁신적인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맞춤형 식이, 의약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기능성 성분의 체내 흡수율 향상, 표적 전달, 안정성 증대 등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식품 나노기술의 첨단화와 실용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식품 에멀젼 및 계면화학: 안정성, 산화제어, 기능성 향상
본 연구실은 식품 에멀젼의 물리적·화학적 안정성 향상과 기능성 증진을 위한 계면화학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오스왈드 리프닝(Ostwald ripening) 현상 억제, 지질 산패 및 산화 방지, 항산화제의 극성 및 계면 특성 제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분자구조의 유화제, 분산안정제, 천연 및 합성 계면활성제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이 에멀젼의 안정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모델 에멀젼 시스템을 구축하여 유화제의 분자구조, 수상 및 유상 조성, 점도 조절, 항산화제의 극성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에멀젼의 안정성 및 산화 특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고급 분석기술(UPLC, 레이저 광산란, 전자현미경 등)을 활용하여 에멀젼의 미세구조, 계면 특성, 물질 이동 및 분해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최근에는 머신러닝 기반의 효소 특이성 예측, 미세유체 기반 리포좀 생산 최적화 등 첨단 융합기술도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의 저장성, 품질, 영양성 개선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식품소재의 고부가가치화 등 산업적 파급효과가 매우 큽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에멀젼 및 계면화학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지속하며, 식품공학의 혁신을 선도할 것입니다.
1
Impact of hydrophilic substances on Ostwald ripening in emulsions stabilized by varied hydrophilic group surfactants
Kim Jihyeon, Noh Yejin, McClements David Julian, Choi Seung Jun
NPJ SCIENCE OF FOOD, 2024
2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particles with lecithin liposomes and poloxamer micelles: Impact of conformational structures of poloxamers
Lee Jihyo, Yoo Eunhee, Choi Seung Jun
FOOD CHEMISTRY, 2024
3
Fabrication of Whey Protein Isolate-Pectin Nanoparticles by Thermal Treatment: Effect of Dynamic High-Pressure Treatment
FOODS, 2023
1
미세유체기술을 활용한 천연고분자 복합체 기반 지방대체제 개발
2
효소나노디스크 신소재를 이용한 농업환경폐기물 오염 저감 기술 개발
3
식품단백질 기반 나노입자의 제조 및 지용성 생리활성성분 캡슐화에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