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년 연구실
치의학과/치의예과 김경년
김경년 연구실은 치의학과 신경생리학, 미각 감수기 연구를 중심으로 다양한 융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미각 감수기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특히 쓴맛 감수기(Tas2r108)와 관련된 유전자 및 신경세포의 기능을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이를 위해 유전자 녹아웃 생쥐 모델, 전기생리학적 분석, 분자생물학적 기법 등 첨단 연구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미각 감수기의 발현 양상과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주력하며, 미각이 대사, 체중, 수명 등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까지도 폭넓게 연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각 장애, 노화에 따른 미각 변화, 미각과 연관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또한, 미각 감수기 연구는 치의학뿐만 아니라 뇌과학, 생명과학, 식품과학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 연구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김경년 연구실은 치의학 교육의 질적 향상과 미래 치과의사 양성을 위한 정책 연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치의학 교육 평가 기준 개발, 치과의사 국가시험 출제 및 평가, 치의학교육 인증제도 등 다양한 교육 정책 연구를 통해 국내외 치의학 교육의 표준화와 국제적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치과의사 수급 정책, 해외 치과의사 유입에 따른 의료 질 보장 등 실질적인 정책 현장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학술대회, 심포지움, 정책 세미나 등에 활발히 참여하며, 연구 결과를 국내외 학계에 적극적으로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치의학계의 학문적 발전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정책, 교육 정책 등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경년 연구실은 앞으로도 미각 감수기 및 신경생리학 연구, 치의학 교육 정책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치의학과 관련된 학문적·사회적 발전에 지속적으로 이바지할 것입니다.
Dental Regulation
Bitter Taste
Kainate Receptors
미각 감수기와 신경생리학적 기전 연구
김경년 연구실은 미각 감수기의 신경생리학적 기전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미각은 인간의 식습관, 건강,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감각으로, 연구실에서는 맛봉오리 세포와 관련된 다양한 수용체의 발현 양상과 신경전달 경로를 분석합니다. 특히, 쓴맛 감수기(Tas2r108)와 같은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동물 모델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미각이 신경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전기생리학적 기법, 유전자 녹아웃 생쥐 모델, 분자생물학적 분석 등 다양한 첨단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미각 감수기의 신호 전달과정, 신경세포의 반응, 그리고 미각 관련 유전자의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각 감수기의 생리적 기능뿐만 아니라, 미각이 대사, 체중, 수명 등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까지도 폭넓게 탐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각 장애의 원인 규명, 노화에 따른 미각 변화, 그리고 미각과 연관된 다양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더 나아가, 미각 감수기의 신경생리학적 연구는 치의학뿐만 아니라 뇌과학, 생명과학, 식품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합 연구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치의학 교육 및 치과의사 양성 정책 연구
김경년 연구실은 치의학 교육의 질적 향상과 미래 치과의사 양성을 위한 정책 연구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국내외 치의학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치과의사 국가시험, 인증제도, 교육 평가 기준 개발 등 다양한 교육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치의학 교육의 표준화와 국제적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치의학 교육의 변화와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치과대학(원)생을 위한 기초 치의학교육 발전 방안, 임상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제안, 치의학교육 인증평가 경험 분석 등 다양한 주제로 연구와 학술 발표를 진행합니다. 또한, 해외 치과의사 유입에 따른 국내 치과의료의 질 보장 및 적정 수급 문제, 치과의사 국가시험 출제 및 평가 등 실질적인 정책 현장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와 활동은 치의학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성과 윤리성을 갖춘 치과의사 양성에 기여합니다. 더불어, 치의학 교육 정책 연구는 보건의료 정책, 교육학, 사회과학 등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치의학계 전반의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1
Nitric Oxide in the Extinction Memory Formation of Lithium-induced Conditioned Taste Aversion Learning
이종호, Vitaly Ryu, 장정원, 김경년, 유상배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LOGY, 201603
2
Anorexia, anhedonia and depression in rats by chronic dexamethasone
김성호, 김성민, 김경년, 김진영, 구재형, 김도윤, 장정원, 이종호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S, 201506
3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constructed from an average dental form
박영석, 남신은, 김예현, Kazuo Hayashi, 이승표, 김경년, 백승학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201202
1
Tas2r108 유전자 제거 생쥐를 이용한 쓴맛의 생리적 기전 연구
2
생쥐 쓴맛 감수기 유전자 Tas2r108의 생리적 기능
3
타액선에 분포하는 미각 감수기의 발현 양상과 생리적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