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허주영 교수

Adipose Tissue

NLRP3 Inflammasome

Exercise Physiology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대학 허주영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연구실은 대사질환, 신약개발, 후성유전체 기반 치료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근육과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myokine, adipokine 등 조직 간 신호전달 물질의 역할과 이들이 대사질환의 발병 및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비만, 인슐린 저항성,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 등 대사질환의 병태생리적 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대칭 촉매 및 연속공정기술(CMT)을 활용한 신약개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배치 방식에서 벗어나 연속공정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의약품 합성의 효율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높아, 국내외 제약기업과의 협력 및 기술이전 등 다양한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Epigenome(후성유전체) 기반의 바이오마커 발굴과 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정보학, AI, 대사체 분석 등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하여, 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를 위한 혁신적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히스톤 조절 단백질, Demethylases, Phosphatases 등 Epigenome 조절 인자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개발 연구는 난치성질환의 근본적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 밖에도 연구실은 다양한 동물모델, 임상 데이터, 오믹스 분석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대사질환, 암, 신경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다학제적 연구와 산학협력을 통해 실제 임상 적용이 가능한 신약 후보물질 및 바이오마커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습니다.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연구실은 앞으로도 대사질환 및 난치성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차세대 바이오 신약개발과 정밀의료 실현을 선도하는 연구거점으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Adipose Tissue
NLRP3 Inflammasome
Exercise Physiology
대사질환에서의 조직 간 crosstalk 및 염증성 신호전달 연구
본 연구실은 대사질환, 특히 비만과 관련된 조직 간 상호작용(crosstalk)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근육에서 분비되는 myokine과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adipokine이 각각 간, 근육, 뇌 등 다양한 조직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이들 분자 신호가 대사 항상성 및 질환 발생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운동에 의해 유도되는 myokine의 역할과 지방조직 내 면역세포와의 상호작용이 대사질환의 발병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NLRP3 inflammasome과 같은 염증성 신호전달 경로가 비만에 의해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 등 대사기능 부전이 어떻게 유발되는지에 대한 분자적 기전을 밝히고 있습니다. 지방세포에서의 NLRP3-caspase1 신호전달 활성화, adipokine인 lipocalin 2의 발현 및 분비 조절, 그리고 지방세포-면역세포 간의 crosstalk을 통한 염증반응 증폭 메커니즘이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대사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 발굴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실제로 다양한 동물모델과 임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질적인 치료 전략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대사질환의 병태생리 이해를 넘어, 맞춤형 치료제 개발 및 바이오마커 발굴로 확장될 전망입니다.
비대칭 촉매 및 연속공정기술(CMT)을 활용한 신약개발
연구실은 비대칭 촉매(Asymmetric Catalysis)와 연속공정기술(Continuous Manufacturing Technology, CMT)을 융합하여 신약개발의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천연물 전합성 및 전통적인 비대칭 촉매 반응 연구에 집중하였으나, 최근에는 산소를 이용한 산화반응과 이를 기반으로 한 연속공정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소량의 촉매로도 높은 효율과 선택성을 달성할 수 있어, 의약품의 대량생산 및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합니다. 비대칭 촉매 기반의 연속공정기술은 기존의 배치(batch) 방식에 비해 공정의 일관성, 안전성, 생산성 측면에서 우수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유기화학 반응을 최적화하고, API(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합성 및 제약공정기술의 혁신을 위한 새로운 촉매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CMT를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의 합성 및 구조-활성 상관관계 연구를 통해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제약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실제로 국내외 제약기업과의 산학협력, 특허 출원, 기술이전 등 다양한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비대칭 촉매와 연속공정기술의 융합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앞장설 계획입니다.
Epigenome 기반 바이오마커 및 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
연구실은 Epigenome(후성유전체) 기반의 바이오마커 발굴과 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정보학 및 AI 기반의 임상수요 예측, 유전체/단백질 메타분석, 약동학 모델링 등 첨단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대사체, PTM, 지질체 등 다양한 생체지표를 통합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에 유용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단백질 구조 기반의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히스톤 조절 단백질 및 Demethylases, Phosphatases 등 Epigenome 조절 인자를 표적으로 하는 제어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신경재생, 암세포 제어 등 다양한 질환 모델에서의 효능 검증과 전임상 실험을 통해, 실제 임상 적용이 가능한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EPIPAD와 같은 히스톤 조절단백질 기반 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통해, 맞춤형 신약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난치성질환의 근본적 치료를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국내외 산학협력 및 연구인력 양성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Epigenome 기반의 정밀의료 실현과 차세대 바이오 신약개발을 선도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1
Small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Damaged Muscle Aggravate Kidney Injury Progression
Songling Jiang, Seunghee Kang, Oran Kwon, Wonhyo Seo, 허주영, Eun-Jung Jin, 하헌주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202506
2
Activation of CXCR7 exerts an inhibitory effect on adipogenesis through regulation of β-arrestin2/Wnt and AKT signalling
허주영, Shiyue Sun, Muhammad Arif Aslam, 마은비, 이가희, Hafiz Muhammad Ahmad Javaid, 윤소미
ADIPOCYTE, 202504
3
Kombucha inhibits adipogenesis and promotes lipolytic activity in 3T3-L1 adipocytes
Eun Bi Ma, Seong-Kin Hong, Eunhye Kim, Sugju Ko, Young-Min Kim, 허주영, Ah-Young Jeong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2503
1
메타리셉톰 제어 연구센터
중앙대학교
2015년 ~ 1970년
2
메타리셉톰 제어연구센터 선도연구센터 (SRC) 지원 사업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2015년 06월 ~ 2022년 02월
3
메타리셉톰 제어연구센터 후속과제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2022년 03월 ~ 197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