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L@PKNU
휴먼바이오융합전공 제재영
바이오헬스케어 신소재 연구실(BML)은 천연 생물자원을 활용한 고기능성 바이오헬스케어 소재의 개발과 응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해양 및 육상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생물자원을 탐색하여, 이들로부터 인체 건강에 유익한 생리활성 물질을 추출하고, 그 화학적 특성과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단백질, 펩타이드, 다당류, 폴리페놀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및 정제 기술을 발전시키고, 이들의 기능성을 극대화하는 방법론을 연구합니다.
연구실은 세포 및 전임상 단계에서의 효능 평가를 통해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항당뇨, 항고혈압 등 다양한 건강 증진 효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분자 수준에서의 작용기전 규명에도 집중하여, 생체 내에서의 신호전달 경로, 유전자 발현 변화, 단백질 상호작용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재의 안전성과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리활성 펩타이드와 다당류의 체내 효율적 전달을 위한 첨단 전달 시스템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하이드로겔, 마이크로캡슐, 나노입자 등 다양한 바이오소재 기반의 전달체를 설계하여, 생체 내 안정성, 표적성, 방출 조절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맞춤형 치료 및 예방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연구실은 기능성 식품, 바이오의약품, 조직재생 및 상처치유용 소재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특허 등록 및 기술이전을 통해 산업적 활용도를 높이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 및 국제학회에서 활발히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BML은 산학연 협력을 통한 실제 제품화와 상용화를 목표로 전주기적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천연 생물자원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개발을 통해 인류 건강 증진과 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Atherosclerosis Inhibition
Obesity Treatment
Hydrogel Dressings
천연 생물자원을 활용한 고기능성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개발
본 연구실은 천연 생물자원을 기반으로 한 고기능성 바이오헬스케어 소재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해양 및 육상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생물자원을 탐색하여, 이들로부터 인체 건강에 유익한 생리활성 물질을 추출하고, 그 화학적 특성과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단백질, 펩타이드, 다당류, 폴리페놀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및 정제 기술을 발전시키고, 이들의 기능성을 극대화하는 방법론을 연구합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세포 및 전임상 단계에서의 효능 평가를 통해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항당뇨, 항고혈압 등 다양한 건강 증진 효과를 검증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분자 수준에서의 작용기전 규명에도 집중하여, 생체 내에서의 신호전달 경로, 유전자 발현 변화, 단백질 상호작용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안전성과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인체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바이오헬스케어 소재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응용 연구를 진행합니다. 산업체와의 협력 및 기술이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제품화와 상용화를 위한 전주기적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생리활성 펩타이드 및 다당류의 기능성 규명과 전달 시스템 개발
연구실은 해양 및 육상 생물자원에서 유래한 생리활성 펩타이드와 다당류의 기능성 규명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홍합, 꼬막, 해조류 등에서 추출한 펩타이드와 다당류가 인체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항비만, 항염증, 항산화, 항고혈압, 항당뇨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HO-1/Nrf2, PPAR-γ/LXR-α 등 주요 신호전달 경로를 타겟으로 하여, 이들 생리활성 물질의 작용기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생리활성 물질의 체내 효율적 전달을 위한 첨단 전달 시스템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하이드로겔, 마이크로캡슐, 나노입자 등 다양한 바이오소재 기반의 전달체를 설계하여, 생체 내 안정성, 표적성, 방출 조절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맞춤형 치료 및 예방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이와 같은 연구는 기능성 식품, 바이오의약품, 조직재생 및 상처치유용 소재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 등록 및 기술이전을 통해 산업적 활용도를 높이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 및 국제학회에서 활발히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1
Bioactive peptides PIISVYWK and FSVVPSPK improve glucose homeostasis by targeting DPP-IV and glucose transport in type 2 diabetic mice
제재영, INDYASWAN, 정원교, 이세중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02506
2
Mussels as sustainable marine resources for bioactive peptides for health and the food industry
제재영, INDYASWAN, JASMADI, DAYARATHNE, MARASINGHE
FOOD & FUNCTION, 202505
3
Multicompartmental Hydrogel Microspheres with a Concentric Thin Oil Layer: Protecting and Targeting Therapeutic Agents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이세중, HYE-SEON J, YOON CHOI, DO-WAN KIM, 제재영, 최창형
ACS Applied Bio Materials, 202503
3
수산물 유래 HO-1/Nrf2 신호전달 활성화를 통한 지방세포분화 조절 및 항비만 신소재 개발